정부에 대전·충남 혁신도시 후속 조치 공개 요구

[충청헤럴드 박정하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가 대전시에서 처음으로 제안한 'K-바이오 랩허브'와 관련 비수도권에 유치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10일 대전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과학도시 대전은 대한민국이 IT 강국으로 성장하는데 가장 큰 원동력"이라며 "수도권 집중 개발과 세종시의 영향으로 인구가 유출되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전·충남 등 혁신도시가 지정 됐음에도 정부에서 구체적 후속 조치가 없는 것은 유감"이라며 "정부는 혁신도시 지정 후 합당한 후속 조치를 취해 대전·충남 지역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 추가 공공기관 이전 조치를 신속히 해줄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대전시민들은 K-바이오 랩허브를 대전에서 최초 제안한 사업이므로 대전에 구축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어느 순간 전국 지자체 공모 사업으로 바뀐 것에 대한 질문에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그는 "중소벤처기업부도 대전서 세종으로 이전하고 인구도 유출 되는 등 대전 시민들의 상실감이 큰 것으로 알고 있다"며 "K-바이오 랩허브는 대전시가 모더나를 개발한 미국 보스턴을 벤치마킹해 최초로 제안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 또한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접근해 공모 대상에서 수도권은 제외 시키는 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밝혔다.
이 전 대표 이날 발기인 2200여명의 신복지대전포럼 발대식을 열고 충청권 세몰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발기인은 2200여명, 가입 회원은 1만3000여명이다.
이 전 대표는 전국 17개 지자체에서 지지모임인 신복지포럼을 창립하고 있다. 충남·충북에 이어 대전에서도 1만명이 이상이 지지모임에 합류하면서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한편 신복지포럼은 소득·주거·노동·교육·의료·돌봄·문화·환경 등 분야에서 최소한의 복지와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적정 기준 '복지'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