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 시장 반대 표명속 안으로 우회적 지원 의구심"

[충청헤럴드 박정하 기자] 허태정 대전시장이 대전열병합발전(주)의 LNG 복합화력발전 증설 반대 의사를 밝히는 등 철회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산업자원통상부가 지자체와 인사교류로 LNG 증설을 돕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여 또 다른 논란이 되고 있다.
산자부가 최근 내놓은 전국 17개 광역 시·도 인사교류 정보공개 청구 자료에 따르면 산자부 서기관(4급) 가운데 상당수가 광역 시·도에서 에너지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전시의 경우 산자부에서 파견된 서기관이 작년 1월부터 시에서 기반산업과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해당 부서는 에너지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일각에선 "지자체에 근무하는 산자부 서기관들은 대부분 해당 지자체에서 에너지 관련 업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지자체들은 LNG 복합화력발전을 추진하는데 주민 반발로 진통을 겪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충북도에도 산자부 서기관이 산업정책협력관으로 근무 중이며, 지역 내에서 LNG 복합 화력 발전 추진을 두고 주민 반발에 부딪혀 사업 진행이 쉽지 않은 실정"이라며 "실제 음성읍 평곡리 일원에 1122㎿급 LNG 복합화력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청주시 역시 SK하이닉스 LNG 발전소 건립도 환경단체 등의 반발로 실마리를 풀지 못하고 있다"며 산자부의 우회적 지원을 꼬집고 있다.
앞서 대전시는 2019년 3월 한국서부발전㈜과 평촌산업단지 14만㎡ 부지에 1조 8000억원을 투입해 1000mw급 LNG 발전시설 등을 건설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지만 같은해 6월 주민 반대로 건설을 포기했다.
산자부와 인사교류를 하지 않는 지자체의 LNG 복합화력발전 추진 철회는 빠른 편으로 산자부 서기관이 근무하는 시·도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산자부와 최근 3년간 인사 교류를 하지 않은 대구시가 대표적이다.
한국남동발전의 대구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 LNG 복합화력발전소 건립 계획은 인근 경남 창녕군 대합면 주민들이 제기한 우포 늪 생태계 파괴 우려 등으로 대구시가 지난 3월 남동발전에 건립 반대 의견을 전달하면서 사실상 취소됐다.
현재 대전지역은 LNG 복합화력발전 증설을 두고 환경단체와 주민들이 기후문제와 주민의견 수렴 절차를 제대로 진행하지 않았다는 이유 등으로 반발이 커지고 있다.
구본환 대전시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일 "현대화사업이라는 명목으로 추진되는 대전열병합발전㈜의 발전설비 증설 사업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구 의원은 또 대전시가 시민들의 입장을 무시한채 산자부 소관으로 돌리는 것에 대해서도 강력 질타했다.
그는 "전기나 열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것도 아니어서 시설용량을 급격히 늘릴 필요가 없음에도 노후시설 교체와 사업성을 이유로 시민의 건강권을 위협하고 있다"며 "대덕구, 유성구의회와 지역 환경단체, 시민들도 증설을 반대하고 있는 만큼, 지역사회 의견수렴부터 제대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전시가 산자부 인사교류로 LNG 복합화력발전 증설을 돕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 속에 허태정 시장이 최근 증설에 분명한 반대 의사를 밝혀 시의 입장이 무엇인지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허 시장은 화력발전소 증설 반대 대책위 집회를 찾아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데이터와 대책, 시민 공감대 형성 등에 대해 발전소측이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사업 추진을 반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