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충남에서 또 AI '빨간불' 이번엔 당진에서 천안까지?
충남에서 또 AI '빨간불' 이번엔 당진에서 천안까지?
  • [충청헤럴드=박상현 기자]
  • 승인 2018.02.10 12: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 연휴를 1주일 앞두고 닭고기와 계란의 수요가 느는 가운데 충남 당진 종계(種鷄)농가를 시작으로 천안의 산란계 농장에서도 AI(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 AI가 확산되면서 비상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충남도는 10일 지난 8일 의심 신고가 들어온 천안 성환의 산란계 농장에 대한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최종 정밀검사 결과 고병원성 H5N6형 AI로 최종 확진됐다고 밝혔다.

충남 천안 산란계 농장의 AI는 당진 종계농장에 이어 올겨울 들어 충남에서는 두 번째로, 이로 인해 충남도 내 양계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천안의 경우 양계산업이 집중된 곳으로 올해도 AI가 발생하면서, 2014년 이후 4년 연속 AI가 발생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지난 2014년 1월 천안에서는 씨오리농장에서 최초로 AI가 발생, 51농가로 퍼지면서 163만여 마리의 가금류를 도살처분했고, 이듬해인 2015년에는 6농가, 2016∼2017년 겨울에는 79농가에서 잇따라 AI가 발생해 모두 600만여 마리의 가금류를 살처분 매몰해 엄청난 피해가 났다.

방역당국은 이번 AI가 발생한 천안 성환의 산란계 농장 주변에는 입장천과 안성천이 흐르고 있고, 많은 논이 포진해 있어서 겨울 철새에 의해 AI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천안시도 바빠졌다. 천안시는 AI로 의심됐던 폐사 가금류가 고병원성 AI로 확진됐다는 소식에 비상체제다.

방역활동에 나선 천안시는 AI 발생 3㎞ 이내 10농가에서 사육 중인 72만여 마리의 산란계를 예방적 도살처분하는 등 차단방역에 주력하고 있다.

통제 초소도 기존 4곳에서 18곳을 늘려 상황종료 때까지 24시간 운영하기로 했다.

새해에 들어 읍·면·동을 돌며 '현장중심 행정'을 했던 구본영 천안시장도 AI 확진 소식에 계획을 모두 중단했다.

구 시장은 AI대책 긴급회의를 열어 부서별 역할과 추진 상황을 점검한 뒤 "AI 확산 방지를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

김종형 천안시 축산과장은 "이달만 잘 넘기면 조금은 안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됐는데, 올해도 AI가 또 발생했다"라며 "최선을 다해 방역에 임하겠다"라고 밝혔다.

당진과 천안뿐 아니라 아산 등 충남 도내 인접 시·군도 비상상황이다.

아산시에서는 9일 신창면 K농장의 18만8천여 마리의 산란계와 보유 계란을 모두 살처분하거나 폐기했다.

이 농장은 천안시 성환읍 AI 확진 산란계 농장주가 같이 운영하면서 사료와 계란을 같은 차량으로 운반하는 등 역학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