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생산량은 감소, 브랜드 쌀 판매량은 증가

충남 당진지역의 쌀 생산량이 전체 생산량은 감소한 반면 지역 브랜드 해나루쌀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시에 따르면, 2014년 쌀 생산량은 12만949톤이었지만 이후 꾸준히 감소해 2017년 생산량은 이보다 약 13% 감소한 10만5783톤으로 집계됐다.
쌀 생산량은 감소했지만 해나루쌀의 판매량은 2014년 3701톤에서 지난해 6321톤으로 증가했다.
쌀 생산량 감소 이유로는 조사료 재배면적이 증가(2014년 1959㏊→2017년 2265㏊)하는 등 전국적인 쌀 생산 공급 과잉과 쌀 값 하락의 영향으로 벼 대신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통계청 조사결과 당진지역 쌀 재배면적은 2014년 2만380㏊에서 2016년 1만8975㏊로 감소했으며, 지난해 재배면적도 1만9206㏊로 2만㏊를 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당진지역 쌀 전체 생산량과 재배면적이 감소세에 있음에도 해나루쌀의 원료곡인 삼광벼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증가했다는 점이다.
2014년 3200㏊이었던 삼광벼 재배면적은 해마다 증가해 지난해 7450㏊로 두 배 이상 늘었고, 2017년 생산량도 2014년 대비 2만221톤 증가하며 해나루쌀 판매 증가를 견인했다.
시 관계자는 “구조변화와 체질 개선이 필요한 농업분야에서 짧은 기간 가시적인 성과를 내는 것은 어렵지만 점차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