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검사2명이 자신이 수사하고 있던 사건 관련 정보를 피의자에게 유출한 의혹과 관련, 검찰에 체포돼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22일 서울고검 감찰부(이성희 부장검사)는 전 서울서부지검 소속 A검사와 전 서울남부지검 소속 B검사를 전날 조사 중 긴급체포하고, 이날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현직 검사가 자신이 수사하고 있던 사건 관련 정보를 피의자에게 유출한 의혹과 관련, 검찰에 체포됐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2/2425_3040_4122.jpg)
두 검사들은 2015년 서울서부지검에서 근무할 당시 수사 대상인 공군비행장 소음 피해 집단 소송 전문인 최인호 변호사(구속)에게 수사정보를 유출한 혐의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변호사는 당시 소송 의뢰인들에게 돌아가야 할 보상금 142여억원을 가로챈 혐의로 검찰의 수사를 받던 피의자였다.
앞서 서울고검 감찰부는 지난 6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조세포탈 등 혐의로 최 변호사를 구속했다.
이들은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를 받던 최인호 변호사에게 수사 기록 일부를 넘겨 준 혐의를 받고 있다.
최 변호사는 서부지검에서 공군비행장 소음 배상금 횡령 등 혐의, 남부지검에서 주가 조작 혐의 등 수사를 받은 적이 있다.
검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홈캐스트 주가조작 사건 관련 수사정보 유출에 가담한 수사관 2명이 구속됐는데, 이 사건에 대한 감찰 과정에서 현직 검사까지 수사정보 유출에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

검찰 안팎에서는 최 변호사 관련 사건에 연루된 현직 검사가 다수라는 말이 나온다. 남부지검과 서부지검에서 일했던 검사 다수가 고검 검찰부의 조사대상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정부 고위 관계자 이름도 거론되면서 일각에서는 이 사건이 대형 게이트로 비화할 가능성도 적지않다.
검찰은 최 변호사와 이들 사이에 금품이 오갔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 변호사는 2004년 모 지역 주민 1만여명이 K2 공군비행장 전투기 소음 피해를 배상하라며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사건을 수임해, 2010년 최종 승소 판결을 이끌었다.
최 변호사는 이 과정에서 지연이자 등 142억여원을 차용금 변제, 주식투자 등 개인 용도로 사용한 혐의로 지난해 1월 불구속기소됐다.
이 재판이 진행되는 동안 서부지검이 최 변호사의 탈세 정황을 포착하고도 수사를 벌이지 않았다는 의혹도 있었다.
대검은 부패범죄특별수사단 등을 투입해 수사를 벌여 조세포탈 등 혐의로 최 변호사를 구속했다.
검찰은 최 변호사가 검찰 수사관과 검사 등과 부당한 유착 관계를 맺어왔는지 수사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최 변호사는 현재 수사를 받고 있는 탈세 혐의와 별도로 2011년 3월 모 지역 공군비행장의 전투기 소음피해 손해배상 소송에서 이긴 주민 1만384명의 배상금을 나누는 과정에서 주민들 몫인 지연이자 142억원을 가로챈 혐의(업무상 횡령 등)로 기소돼 재판을 받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