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째 표류하고 있는 유성복합터미널 건립 사업의 정상 추진 여부를 판가름하는 본 계약 체결이 26일 이뤄진다.
![유성터미널 건립 사업 우선협상대상자인 하주실업이 26일 대전도시공사와 본 계약을 체결하면 사업이 예상대로 추진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이 사업은 원점으로 돌아가게 된다.사진 대전도시공사[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2/2474_3121_4414.jpg)
본 계약 체결의 여부는 우선협상대상자인 하주실업이 사업계획서에 명시한 재무적 투자자(교보증권), 시공사(동부건설·태경건설), 입점 의향 기업(롯데쇼핑·롯데시네마 등 롯데 계열사)의 참여할 지에 달렸다.
대전시 유성구 구암동 일대에 고속버스·시외버스터미널과 간선급행버스체계(BRT) 환승센터 등을 조성하는 유성복합터미널 건립 사업을 놓고, 대전도시공사는 지난 1월 하주실업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뒤 매주 목요일마다 본 계약 체결을 위한 협약 내용을 협의해 왔다.
본 계약 체결의 관건은 이 사업의 입점 의향 기업(롯데쇼핑·롯데시네마 등)인 롯데 계열사의 참여 여부다.
![하주실업이 제출한 유성터미널 조감도 [사진=대전도시공사제공]](/news/photo/201802/2474_3119_3847.jpg)
롯데가 사업에 참여하면 재무적 투자자인 교보증권이 자본력을 뒷받침하겠지만, 그 반대라면 자본 조달이 쉽지 않아 사업을 이어나갈 동력이 떨어진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대전도시공사는 이 때문에 롯데의 참여를 담보할 사업참여 확약서를 제출하거나 재무적 투자자와 시공사 등이 법적 구속력이 있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계약에 참여할 것을 전제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하주실업은 컨소시엄을 구성하지 못한 것은 물론 현재까지 롯데의 사업참여 확약서도 제출하지 못한 상태다.
여기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최근 뇌물공여 혐의로 법정 구속되면서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에도 큰 차질에 예상되고 있다. 입점의향기업이던 롯데 계열사들이 최고 의사 결정권자인 그룹 신 회장의 구속으로 신규사업 참여를 중단할 가능성이 매우 큰 까닭이다.
전문가들과 대전시 일각에서는 상황이 이렇게 되자 26일로 정해진 본 계약 체결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흘러 나오고 있다.
대전도시공사 역시 사업 초기 정상 추진을 자신했지만, 본계약 무산을 우려하는 분위기도 적지 않다.
대전도시공사 관계자는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협상 초기에는 롯데의 사업참여 의지가 매우 강해 큰 걱정이 없었지만, 신 회장 구속 이후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며 "롯데 측의 사업 참여가 전제되지 않으면 계약을 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롯데가 사업참여 확약서를 제출하지 못해 계약이 불발되면 후 순위 사업자인 케이피아이에이치(KPIH)에 협상권을 넘기고 처음부터 다시 협상해야 한다.
우선협상대상자인 하주실업의 '플랜A'를 이제는 우선협상자 후 순위 사업자인 케이피아이에이치(KPIH)로 바꿔 '플랜 B'를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유력 시장 후보들이 유성터미널 건설 방식을 놓고 저마다의 입장을 밝히면 사업 추진 방식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게 민영개발이 아닌 공영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시의회를 중심으로 롯데의 사업무산 책임론과 하주실업의 우회입찰 등 온갖 특혜 시비에서 벗어나 터미널 기능을 살리는 공영개발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조원휘 의원은 "주민이 바라는 것은 터미널이지, 터미널에 입주할 쇼핑몰이 아니다"라며 "협상이 무산되면 공영개발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주실업이 제출한 유성터미널 조감도 [사진=대전도시공사제공]](/news/photo/201802/2474_3120_4154.jpg)
하지만 이같은 전망과 달리 롯데가 26일 사업참여 확약서를 제출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하주실업은 롯데와의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대전 도시공사에 이날까지 기다려달라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전도시공사도 당초 "계약일 연장은 없다"고 못 박았지만, 연장까지도 검토하고 있다.
대전도시공사 관계자는 "공모 지침서상 계약일을 최대 10일까지 연장할 수 있다"며 "하주실업이 계약일 연장을 요구하면 타당성 여부를 검토해 연장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