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농단 사건의 '몸통'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절차가 27일 헌정 사상 첫 대통령 탄핵을 거쳐 형사 재판까지 1심 선고만 남긴 채 마무리됐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김세윤 부장판사)는 이날 오후 박 전 대통령의 결심 공판을 열어 검찰의 구형과 피고인 측 의견을 청취한 뒤 심리를 끝냈다.
헌법재판소가 지난해 3월 10일 박 전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한 지 354일, 4월 17일 구속상태에서 기소된 지 317일째에 맞는 결심 공판이다.
◇ 2016년
▲ 10월 24일 = JTBC, 최순실 국정운영 개입 의혹 보도. 최씨 사용 추정 태블릿PC 공개
▲ 10월 25일 = 박 대통령 대국민 사과

▲ 10월 27일 = 검찰, '최순실 의혹' 특별수사본부 설치
▲ 10월 29일 = 검찰, 청와대 압수수색 시도, 협조 거부로 철수
▲ 11월 3일 = 검찰, 최순실 구속
▲ 11월 4일 = 박 대통령 두 번째 대국민 담화. '검찰 조사·특검 수용' 입장 발표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6년 10월 25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최순실 의혹'에 관해 대국민 사과를 하기 전에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2/2511_3178_4813.jpg)
▲ 11월 6일 = 검찰, 안종범 전 수석·정호성 전 비서관 구속
▲ 11월 20일 = 검찰, 최순실·안종범·정호성 구속기소
▲ 11월 29일 = 박 대통령, 세 번째 대국민 담화. "진퇴 문제 국회 결정에 맡기겠다" 입장 표명
▲ 11월 30일 = 박 대통령, 특별검사로 박영수 전 서울고검장 임명 결정
▲ 12월 1일 = 황교안 국무총리, 박영수 특검에 임명장 수여
▲ 12월 3일 =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 12월 9일 = 국회, 박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헌재에 탄핵소추의결서 접수
▲ 12월 21일 = 특검팀, 공식 수사 시작
![이정미 헌법재판소 소장 권한대행(가운데)이 지난 3월 10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2/2511_3179_4930.jpg)
◇ 2017년
▲ 1월 1일 = 박 대통령 출입기자단 신년 인사회에서 탄핵소추 사유 전면 부인
▲ 2월 27일 = 탄핵심판 최종변론. 대통령 대리인단은 최종 종합준비서면 제출
▲ 2월 28일 = 특검, 이재용 등 17명 기소하고 수사 마무리…"박 대통령, 뇌물수수 혐의 피의자 입건" 발표
▲ 3월 10일 = 헌법재판소,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선고. 박 대통령 파면 결정
▲ 3월 15일 = 검찰, 박 전 대통령에 소환 통보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지난해 3월 21일 오전 조사를 받기위해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 포토라인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2/2511_3180_5038.jpg)
▲ 3월 21일 = 박 전 대통령 서울중앙지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 조사
▲ 3월 22일 = 박 전 대통령 검찰 조사 마치고 귀가
▲ 3월 27일 = 검찰, 박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 3월 30일 = 박 전 대통령 구속 전 피의자 심문
▲ 3월 31일 = 검찰, 박 전 대통령 구속
▲ 4월 4일 = 검찰, 박 전 대통령 1차 옥중 조사
▲ 4월 12일 = 검찰, 박 전 대통령 5차 옥중 조사
▲ 4월 17일 = 검찰, 박 전 대통령 기소(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김세윤 부장판사)에 박 전 대통령 사건 배당)
▲ 5월 2일 = 법원, 박 전 대통령 1회 공판준비기일
▲ 5월 16일 = 법원, 박 전 대통령 2회 공판준비기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첫 재판이 열리는 지난해 5월 23일 오전 박 전 대통령과 40년 지기 '비선실세' 최순실 씨가 서울중앙지법 417호 법정 피고인석에 앉아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2/2511_3182_5335.jpg)
▲ 5월 23일 = 박 전 대통령 정식 공판 시작
법원, 박 전 대통령과 최순실씨 사건과 병합 심리 결정.
▲ 6월 19일 = 박상진 전 삼성전자 사장, 박 전 대통령 재판서 증언거부
▲ 6월 22일 = 박 전 대통령 재판에 최태원 SK그룹 회장 증언
▲ 7월 10일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박 전 대통령 재판서 증언거부
박 전 대통령 발가락 부상으로 재판 1회 불출석
▲ 7월 11일 = 박 전 대통령 발가락 부상으로 재판 2회 불출석
▲ 7월 13일 = 박 전 대통령 발가락 부상으로 재판 3회 불출석
▲ 7월 14일 = 박 전 대통령 샌들 신고 재판 출석
▲ 7월 28일 = 박 전 대통령 서울성모병원서 발가락 정밀검사
▲ 8월 31일 = 검찰, 박 전 대통령 재판에서 95명 증인 신청 계획 무더기 철회
▲ 9월 12일 = 박 전 대통령 재판에 노태강 문체부 2차관 증언
▲ 9월 18일 =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 박 전 대통령 재판서 증언거부
▲ 9월 28일 = 박 전 대통령 재판에 광고감독 차은택씨 증언
▲ 9월 29일= 법원, 안종범 업무수첩 '정황증거'로 채택
▲ 10월 10일 = 박 전 대통령 구속연장에 관한 청문 절차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구속 연장 후 첫 공판을 마친 지난해 10월 16일 오전 서울중앙지법을 나서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2/2511_3184_567.jpg)
▲ 10월 13일 = 법원, 박 전 대통령 구속 연장 결정
▲ 10월 16일 = 박 전 대통령 변호인단 전원 사퇴. 박 전 대통령 "재판부에 대한 믿음이 더는 의미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발언
▲ 10월 19일 = 변호인단 사퇴 후 첫 재판에 박 전 대통령 불출석
▲ 10월 25일 = 법원, 국선변호인 5명 선임
▲ 11월 27일 = 박 전 대통령 재판 재개. 박 전 대통령 불출석해 재판 연기
▲ 11월 28일 = 법원, 궐석재판 진행 결정
◇ 2018년
▲ 1월 25일 = 최순실 증인 1회 불출석
▲ 2월 1일 = 최순실 증인 2회 불출석. 재판 기일변경
▲ 2월 20일 = 최순실 증인 3회 불출석
▲ 2월 27일 = 박 전 대통령 재판 결심, 검찰 구형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