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세종·충남 출산율 상위권…전국 출생아수 35만명 '최악'
세종·충남 출산율 상위권…전국 출생아수 35만명 '최악'
  • [충청헤럴드=김광호 기자]
  • 승인 2018.02.28 15: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년 우리나라 출생아 수는 1970년대 통계 작성이래 처음으로 35만명대로 떨어졌다.

그런 가운데 17개 시도 가운데 세종이 최고의 출산율을 충남.충북지역은 전국평균 출산율을 넘겼으나 대전은 평균출산율을 웃도는 수준이다.

​대한민국에 아기 울음소리가 사라져, 작년 우리나라 출생아수는 1970년대 통계 작성이래 처음으로 35만명대로 떨어졌다.[사진=연합뉴스]
작년 우리나라 출생아수는 1970년대 통계 작성이래 처음으로 35만명대로 떨어졌다. [사진=연합뉴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7년 출생·사망통계(잠정)'를 보면 작년 출생아 수는 35만7천700명으로 전년 40만6천200명보다 4만8천500명(11.9%) 감소했다. 감소폭도 2001년(-12.5%) 이후 16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역시 역대 최저 기록을 세웠다. 이는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다.

통계청은 "한 해 출생하는 신생아 수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면서 "일례로 1970년대만해도 100만명대 였던 출생아 수는 2002년에 49만명으로 절반으로 감소하면서 40만명대 이하로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 해 출생아수 30만명대는 인구학자들 사이에 심리적 마지노선"이라며 " 세계에서 한세대 만에 출생아수가 반토막으로 줄어 인구절벽에 직면한 나라는 한국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17개 시도 모두 합계출산율이 전년보다 크게 준가운데 

전국 평균 합산출산율은 1.05명선. 이가운데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1.67명)이었고▲ 전남(1.33명)▲ 제주(1.31명)▲충남(1.28명) 순이었다.  또한▲충북은 1.23명이었으나 ▲대전은 1.07명으로 평균치였고▲서울(0.84명)▲ 부산(0.98명)의 합계출산율은 1명 이하로 추락했다.

월별 출생아수는 2016년 10월 이후 두자릿수 감소세를 이어가다가 지난해 12월 8.8% 감소하는 데 그쳐 한 자릿수로 둔화했다.

통계청 이지연 과장은 "2016~2017년 결혼이 크게 줄어 올해 상반기까지 출생아수가 전년동기 대비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판단되지는 않는다"면서 "다만, 12월 출생아수 감소폭이 한자릿수로 떨어져 감소세가 둔화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곤두박칠 쳤다. 전년 1.17명보다 0.12명(10.3%) 급감했다.

합계출산율이 1.10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05년(1.08명) 이후 12년 만이다.

통계청은 이에 대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인구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 2.1명의 절반 수준"이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평균 1.68명을 크게 못비치는 한편 압도적인 꼴찌"라고 분석했다.

여성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4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여성인구 1천명당 출산율은 20대 후반(25∼29세) 47.8명, 30대 초반(30∼34세) 97.7명, 30대 후반(35∼39세)은 48.7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8.6명(15.2%), 12.4명(11.3%), 1.5명(3.1%)씩 일제히 감소했다.

반면, 40대 초반(40∼44세)은 6.0명으로 전년보다 0.1명(1.7%) 늘어났다.

특히 주 출산연령인 30대 초반 출산율이 급감해 여성인구 1천명당 출산율이 처음으로 100명 아래로 추락했다.

출산율을 연령대로 비교하면 30대 초반이 가장 높았고, 20대 후반, 30대 후반 순이었다. 20대 후반은 출산율이 30대 후반과 유사하게 낮아졌다.

10년 전에는 20대 후반 출산율이 30대 후반보다 4배 가까이 높았지만, 지속해서 하락한 결과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