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간 대화중재에 나선 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이번주 초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을 포함하는 대북특사단을 파견한다.
특사단은 1박2일 일정이며, 그 규모는 정 실장과 서 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을 포함해 5∼6명으로 구성될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오른 쪽)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사진=충청헤럴드]](/news/photo/201803/2596_3313_2243.jpg)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4일 한 언론과 의통화에서 "정의용 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이 특사단에 포함되며, 이번 주 초에 방북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 특사단 명단과 파견 시기는 금명간 밝힐 예정이다.
장관급 인사 두 명이 대북 특사단에 포함된 것은 전례가 없는 일로 이번 특사의 의미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대(對)북통인 서 원장과 대(對)미통인 정 실장이 원활한 대북 협상을 이끄는 동시에 이를 토대로 대미 소통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조합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서 원장은 국민의정부 때인 2000년과 참여정부였던 2007년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 당시 대북 협상에 깊숙이 관여하면서 경험이 풍부한 명실상부한 대북전략통으로 꼽힌다.
서 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인 마이크 폼페오 중앙정보국(CIA) 국장과 긴밀한 소통채널을 유지하고 있다.
정 실장역시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 등 백악관 안보 핵심라인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인물로, 대북 협상 결과를 토대로 백악관과 공유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 모두 문 대통령이 김여정 특사와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각각 만날 때 배석했던 인물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두 사람은 평창올림픽 기간에 한반도 정세 안정을 위해 집중적으로 노력해왔다"며 "대통령도 애초 두 사람을 대북특사로 하려는 의중을 갖고 있다가 최근에 최종 결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북특사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에게 북한이 비핵화를 전제로 하는 북미대화에 나서고 이를 토대로 남북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내용의 친서를 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