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문재인 대통령과의 청와대 오찬 회동을 가진 여야 5당 대표는 향후 북한의 비핵화 해법과 4월말 남북정상회담의 의제 등을 놓고 미묘한 평가를 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대북특사단의 방북합의를 평가하면서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에 의미를 뒀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5당대표의 청와대 오찬회동. 왼쪽부터 이정미 정의당대표,유승민 바른미래당공동대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대표 문재인대통령 홍준표 자유한국당대표, 조배숙 민주평화당 대표[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3/2686_3441_53.jpg)
반면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북한에 속아선 안 된다"며 이른바 북한의 '위장평화' 공세를 비판했고, 바른미래당 유승민 공동대표는 "북한의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며 상호주의에 입각한 대북협상을 주문했다.
홍 대표는 추 대표의 양보로 먼저 모두발언을 통해 "북핵 문제를 처리해 오면서 30년 동안 북한에 참 많이 속았다"며 "대통령께서 과거 북한에 속았던 전철은 이번에는 밟지 마시기를 부탁드리러 왔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이번에도 평화를 내세워 남북회담을 하고 있지만, 이것이 북핵 완성에 시간을 벌어주는 남북정상회담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북핵 완성의 마지막 단계에 와 있기 때문에 정말 국민에게 불행한 사태가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 공동대표는 이와달리 "북측이 비핵화 의지를 밝히고, 대화 기간 중 핵과 미사일 실험을 일시 중단하겠다고 밝힌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중요한 것은 말이 아니라 행동이며, 북한의 진정성"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5당대표가 7일 청와대 오찬회동장으로 이동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3/2686_3442_631.jpg)
이어 "핵 없는 평화가 진정한 평화다. 우리는 북한의 핵무장을 용인할 수 없고, 이 원칙을 김정은에게 분명히 전달해야 한다"며 "어제 발표문이 북한 핵보유국 지위를 문서로 인정하는 결과로 둔갑되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추 대표는 "4월 말 남북정상회담을 하게 되면 항구적 평화체제로 갈 수 있는 토대를 차곡차곡 쌓아나갈 수 있다"며 "대통령 임기 1년도 지나지 않은 4월에 정상회담을 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살려 나가야 할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홍 대표가 북한의 의도에 속지 말아야 한다는 경계의 말씀 주신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북한 의도를 알아내기 위해서라도 대화는 필요하다"며 "한미동맹 균열은 안 된다고 (유 공동대표가) 말했는데 그에 대한 오해는 불식해도 된다"고 언급했다.
민주평화당 조배숙 대표와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초당적인 안보협력을 강조하며 추 대표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조 대표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를 위한 남북정상회담과 북미회담의 성과를 위해서는 대통령과 정부의 힘만으로는 되지 않는다. 국론을 한 데 모아야만 힘있게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역시 "한반도가 새 국면으로 가고 있다. 항구적 평화체제로 전환해야 하는 길로 들어섰다"며 "정치권이 평화를 함께 만드는 시기를 열어나갈 때다. 무엇보다도 정치적 단합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야당 대표들은 이날 회동에서 안보 문제뿐만 아니라 미국의 통상압력, 개헌 문제에 대해서도 정부의 궤도 수정을 촉구했다.
유 공동대표는 "한미동맹의 큰 틀 속에서 미국과의 통상 마찰을 해소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조 대표는 "국회 주도로 이뤄질 수 있게 정부 주도 개헌 논의를 철회하는 결단을 해주시길 부탁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