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시설과 제도개선 요구... 대전시 "시민 불신 불안 해소할 것"

대전지역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과 관련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안전관리 시스템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1일 대전 원자력시설 시민검증단은 대전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안전관리 시스템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이날 박재묵 시민검증단장은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연 시민검증단 활동 종료 기자회견에서 "시민검증단의 활동을 계기로 원자력연구원이 안전 관련 기구를 강화하는 등 시스템을 개선했다"면서도 "여전히 시민안전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박 단장은 "원자력연구원이 규제기관의 검사만 통과하는 것을 목표로 정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며 "원자력연구원의 안전의식 강화와 관련 제도 정비가 시급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박 단장은 원자력연구원의 안전의식 미비의 증거로 지난 1월 20일 가연성 폐기물 처리시설 화재를 예로 들었다.
원자력연구원 측은 당시 화재 발생 직후 현장에 도착해 초기 진화에 나섰다고 했지만, 조사 결과 50여분 전에 화재를 인지하고 근무자들이 화재 현장에 출동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방사능 유출 등 별다른 문제는 없었지만, 초동 대응 미비와 허위 보고 등으로 안전 시스템에 구멍이 뚫렸다는 비난이 쏟아져 나왔다.
지난해 원자력연구원 방사성 폐기물 무단 배출 사건을 계기로 출범한 시민검증단은 시민 불신과 불안 해소를 위해 주민 대표와 전문가 등 27명으로 출범한 조직이다.
이들은 10개월 동안 하나로 원자로 내진보강 공사,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사용후핵연료, 안전관리시스템, 방재시스템, 원자력안전제도 등의 분야에 대해 검증활동을 벌인 뒤 최종보고서를 채택했다.
시민검증단은 보고서에서 방사선 환경영향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매년 발생하는 중저준위 방폐물 경주 방폐장 이송에 대한 현실적인 계획과 재원조달 및 인력유지 대책을 요구했다.
또 원자력 안전을 위해 지자체가 원자력 시설 운영을 감시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권한을 강화하고, 민간 환경안전 감시기구를 제도화할 것도 주문했다.
박 단장은 "원자력위원회는 원자력연구원에 대한 지적·권고 차원의 검사가 아닌 안전관리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검사를 엄격하게 해야 한다"며 "원자력연구원이 있는 유성에 민간원자력환경감시기구를 설치해 제3자 감시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 신성호 시민안전실장은“시민검증단이 공개한 검증활동보고서를 한국원자력연구원과 관계기관 등에 제공해 요구사항 반영과 제도개선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며 “원자력시설이 시민의 안전과 직결된 사항인 만큼 시민의 불신과 불안이 해소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