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세종, 충북의회 중에 충북의회가 3년간의 의정활동이 낙제점을 받았다.
참여자치연대 충청권(대전.세종.충북) 지방의회협의회는 21일 충북도의회 회의실에서 충청권 지방의회 운영방안 개선을 위해 열린 토론회에서 이같이 평가됐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서원대 정상호 교수는 '민선 6기 충청지역 지방의회 평가와 과제'라는 주제로 공무원, 언론인, 시민단체 활동가, 학계, 지방의원 등 각계 전문가 157명(충북 50명, 대전 57명, 세종 50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참여자치연대 충청권(대전.세종.충북) 지방의회협의회는 21일 충북도의회 회의실에서 충청권 지방의회 운영방안 개선을 위해 열린 토론회에서 대전.세종,충북의회중에 충북의회가 3년간의 의정활동이 낙제점으로 평가됐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3/2948_3773_5642.jpg)
조사는 주민소통, 상임위 구성, 의장 선출, 합리적 해외연수, 청렴도, 견제와 감시, 조례 제·개정 등 7개 항목으로 나눠 이뤄졌다.
그 결과 대전·세종·충북 3개 지역 지방의회중 충북의 지방의회가 모든 항목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충북은 상임위 구성, 의장 선출, 합리적 해외연수 항목에서 가장 나쁜 점수를 받았다.
충북도의회가 이런 부정적 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정 교수는 분석했다.
충북도의회는 상임위 구성 과정에서 여야 갈등, 당내 계파 싸움 등으로 갈등이 있었으며, 하반기 의장 선출 과정에서는 다수당인 자유한국당 내분과 의원 간 금품 스캔들이 터져 2명의 의원이 재판에 넘겨지기도 했다.
합리적 해외연수는 조사 대상자의 76%가 부정 평가를 했다.
정 교수는 "지난해 유례없는 물난리에도 불구하고 충북도의원 4명이 외유성 유럽 연수를 떠나 여론의 십자포화가 있었던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 교수는 의원의 겸직과 관련, 3개 지역 지방의원 260명 중 87명이 겸직을 신고했다.
겸직 비율이 가장 높은 의회는 증평군의회(86%), 청주시의회(79%), 괴산군의회(75%), 보은군의회(75%) 순으로 나타났다.
정 교수는 "의원들의 겸직은 충실한 의정활동, 공정한 직무수행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겸직 금지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