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가 도내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과 중금속 등 유해물질 감시 체계를 대폭 강화한다.
생산단계(생산·저장·유통출하 전)에서 부적합 수산물을 차단함으로써 도내 수산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다는 복안이다.
도 수산자원연구소(소장 성낙천)는 수산물 안전성 조사 체계 강화를 위해 올해 20억 원을 투입, 유해물질 분석 장비를 확충한다고 25일 밝혔다.
생산단계 수산물 안전성 검사는 양식장과 냉장·냉동 창고, 위판장 등에서 방사능이나 중금속, 항생물질 등 기준이나 규격에 벗어나는 수산물을 찾아 유통을 차단하기 위해 실시한다.
이를 위해 지난해 건립한 수산물안정센터에 분석실 및 전처리 시설 등을 갖춘다. 또 20억 원을 투입해 방사능과 중금속, 항생물질 등 93개 유해물질 분석에 필요한 31종 56대의 장비를 구입하고, 전문 인력도 4명을 충원한다.
분석 장비 및 인력 충원 후에는 부적합 이력이 있거나 수요가 많은 품종, 오염 우려 해역 생산 수산물 등을 대상으로 안전성 조사를 집중 실시한다. 조사 건수는 올해 200건을 시작으로, 내년 350건, 2020년 500건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도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최근 신종 유해물질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분석 장비와 인력을 확충, 연중 상시 검사가 가능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운영할 계획”이라며 “수산물 안전에 대한 소비자 우려 해소를 위해 이해 관계자에 대한 순회 교육도 지속적으로 실시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내 양식장과 냉장·냉동창고, 위·공판장 등 생산단계 수산물 안전성 검사 대상은 총 1716곳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