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인들은 지난 26일 문재인대통령의 개헌안 발의에 대해 10명중 5명이 긍정평가했다.
![충청인들은 지난 26일 문재인대통령의 개헌안 발의에 대해 10명중 5명이 긍정평가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3/3153_4071_474.jpg)
또한 충청인들은 개헌안 국민투표 시기에 대해서도 응답자 절반이 6.13 지방선거 때가 적절하다고 밝혔다.
30일 한국갤럽이 지난 27~29일 전국 성인남녀 1천4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에 따르면 충청인들은 지난 26일 문 대통령이 개헌안을 공식 발의한데 대해 생각을 물은 결과 '좋게본다'52%(전국 55%)고 밝혔으나, '좋게 안본다' 21%(전국 24%), '모르거나 응답거절'이 27%(전국 21%)로 나타났다.
갤럽은 전국적인 엇비슷한 평가에 대해 "대통령 개헌안 발의에 대해 40대 이하, 더불어민주당·정의당 지지층, 이념성향 진보층 등에서는 '좋게 본다'는 응답이 70%를 넘었다"면서 "그러나 60대 이상,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지지층, 이념성향 보수층에서는 '좋지 않게 본다'는 시각이 우세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에서는 긍·부정 의견이 32%·35%로 비슷했다"고 설명했다.
갤럽은 대통령 개헌안 발의를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545명, 자유응답) '개헌 필요성이 크기 때문/해야 할 일'(14%), '국회가 못하고 있음/국회가 추진 못함'(12%), '대통령이 하는 일/직접 추진하는 일이어서'(9%), '대통령 4년 연임제 찬성'(7%), '개헌안 내용이 전반적으로 좋음', '대통령 권한 행사', '공약 실천'(이상 6%)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통령 개헌안 발의를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그 이유로(245명, 자유응답) '국회가 할 일'(23%), '독단/독선/일방적 추진'(17%), '국민 의견 수렴, 소통 부족'(10%), '대통령 연임제 반대', '개헌 자체 반대/변화 반대'(이상 6%) 등을 지적했다.
충청인들에게 개헌 국민투표 시기에 대해 물었더니 '6.13 지방선거와 동시 실시'가 51%(전국 47%)였으며 '6.13 지방선거이후 연내 실시' 28%(전국 24%), '내년 이후'는 14%(전국 15%), 기타 2%(전국 2%), 모름 또는 응답거절이 6%(전국 12%)로 분석됐다.
충청인들이 '6.13선거때 개헌투표 동시실시' 51%는 전국에서 제일높았으며, 서울 50%, 광주.전라 49%가 다음으로 많았다.
![충청인들은 개헌안 국민투표 시기에 대해서도 응답자 절반이 6.13 지방선거때가 적절하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3/3153_4073_5058.jpg)
충청권에서 문대통령 직무수행에 대해 잘한다는 답변이 73%(전국 70%)로 광주·전라 94%에 이어 높았다. '잘 못 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14%(전국 21%). '어느쪽도 아니다' 4%(전국5%), '모름과 응답거절' 8%(전국 4%)로 집계됐다.
갤럽은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698명, 자유응답) '외교 잘함'(20%), '북한과의 대화 재개', '소통 잘함/국민 공감 노력'(이상 9%), '개혁/적폐 청산', '대북 정책/안보'(이상 8%), '서민 위한 노력/복지 확대'(6%), '전반적으로 잘한다'(5%),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4%) 순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반면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 부정 평가 이유로(214명, 자유응답)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15%), '대북 관계/친북 성향'(12%), '과거사 들춤/보복 정치'(10%), '독단적/일방적/편파적'(9%), '과도한 복지'(6%), '최저임금 인상'(5%) 등을 지적했다. 이번 주 부정 평가 이유에는 '미세먼지 대책 부족'이 새롭게 포함됐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갤럽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