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일부 아파트등 공동주택에 폐비닐 등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 16일부터 우려되고 있다.
대전지역 쓰레기 수거 업체들의 경영난 속에 중국의 재활용 쓰레기 수입 제한 조치로 인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공동주택에 폐비닐등 재활용 쓰레기 문제로 시민 불편이 불보듯 뻔해 보인다.
8일 대전시 및 지역 업체들에 따르면 대전 지역 재활용품 수거업체 일부가 오는 16일부터 폐비닐 등 재활용 쓰레기 수거 거부 입장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5개 대전시내 자치구와 계약을 체결한 업체는 재활용품을 종전대로 수거해 갈 입장이지만, 공동주택과 계약을 체결한 업체 일부가 수거 거부입장을 밝혀온 것이다.
대전지역 500여 곳의 공동주택 단지 중 150여 곳에 대한 직·간접적인 피해가 예상된다.
이로 인해 이들과 계약을 맺은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될 위기에 처했다.
이런데도 일부 지자체는 폐비닐등 재활용 쓰레기 수거 업체와 아파트 등 공동주택 사이의 문제로만 보고 적극적인 해법을 내지 못하고 있다.
대전의 자치구 관계자는 "우리 구청과 계약을 맺고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업체들의 경우 기존과 같이 재활용품을 수거하기로 해,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그러나 쓰레기 수거업체와 개별적으로 게약관계를 맺은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경우가 문제이지만, 현재로선 업체들이 차질없이 수거를 하도록 설득하는 일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업체들의 재활용 쓰레기 수거 거부 방침의 가장 큰 원인은 중국의 재활용거부 정책 때문이다.
![대전지역 쓰레기 수거 업체들의 경영난 속에 중국의 재활용 쓰레기 수입 제한 조치로 인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일부 아파트등 공동주택에 폐비닐등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 16일부터 우려되고 있다[사진= 연합뉴스]](/news/photo/201804/3340_4352_3613.jpg)
중국은 올초부터 전 세계 폐기물의 절반을 수입하다가 24종에 대한 재활용품의 수입을 금지하면서 국내 업체들 입장에선 재활용품을 수거해도 중국이 수입 불가 방침을 확정하면서 판로가 사라졌다.
폐지 가격의 하락도 재활용 업체들의 수거 거부 움직임의 하나로 꼽힌다.
재활용 업체들은 폐비닐보다는 폐지 등으로 이윤을 남겨왔는데 폐지 값마저 급감해 폐비닐 수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전지역의 폐지의 경우 연초 1㎏당 140원에서 60원으로 판매 가격이 폭락했다.
![대전지역 쓰레기 수거 업체들의 경영난 속에 중국의 재활용 쓰레기 수입 제한 조치로 인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일부 아파트등 공동주택에 폐비닐등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 16일부터 우려되고 있다[사진= KBS뉴스켑쳐]](/news/photo/201804/3340_4353_3653.jpg)
지역 수거 업체들은 이에따라 공동주택이 받는 폐지 비용을 낮춰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업체들은 그간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해가면서 폐지 값 수거 명목으로 공동주택 1세대 당 1000원에 달하는 돈을 지급해왔다.
업체들은 폐지 값이 크게 떨어진 만큼 이에 따른 금액을 줄여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8일 현재 재활용 업체 77곳 중 12곳이 해당 공동 주택에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전달한 상황이다.
업체들은 가격 경쟁력 감소와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재활용 쓰레기 수거에 거부감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다.
그런데도 그 비용을 놓고 업체와 공동주택 관리사무소 간 별다른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어 자치단체의 중재가 시급한 실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와관련해 "재활용 수거업체들은 폐지수거 명목으로 각 세대에 지급하던 비용을 절반가량 낮춰달라는 요청을 하고 있다"면서 "이에 실제 업체가 피해를 보고 있는 점을 확인하는 등 시민들의 피해가 없도록 중재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