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 됐던 대전시내 폐비닐등 재활용쓰레기 수거 대란[본보 9일자 톱기사보도]의 불은 일단 껐다.
대전시는 11일 아파트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폐비닐 수거 거부를 예고했던 대전지역 재활용품 수거업체 관계자들과 지속해서 협의한 끝에 정상 수거로 입장이 선회됐다고 밝혔다.
대전 지역 재활용 수거 및 선별업체들은 올 연초 중국 폐자원 수입금지조치가 수익 악화로 이어져 경영난을 겪자, 수거업체 77곳 중 12곳이 오는 16일부터 폐비닐 수거를 중단하겠다고 아파트에 통보했었다.
![쌓여 있는 재활용품 [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4/3417_4456_552.jpg)
대전시와 5개 자치구는 이날 대책회의를 열고 수거거부 업체 대표자, 주택관리사협회 대전시회 및 아파트입주자대표회 연합회와 협의해 쓰레기 수거 대란을 일단 막았다.
그러나 쓰레기 배출에 급한 불은 껐지만 일부 조건 사항 수용을 전제로 한 합의인만큼 수거 대란 우려의 불씨는 남아 있다.
대전재활용생활폐기물협의회는 대전시와 5개구청에 업체들이 재활용 생활 폐기물 수거협약시 보다 50% 인하해 아파트단지와 재계약하도록 도와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중국에 수출을 하는 당시 맺었던 가격으로 재활용품을 매입하려면 적자를 보게될 구조라 현실에 맞게끔 조정하도록 자치단체가 중재자 역할을 해달라는 주장이다.
대전시에 재활용 생활폐기물 관련 조례를 제정할 것도 협의사항으로 달았다.
같은 광역도시인 대구나 광주처럼 수익성이 낮아 수거 기피품목이 되는 폐비닐, 플라스틱, 스티로폼, 잡병 등 4대 항목 수거 시 업체들에 장려금을 달라는 것이다.
공동주택 발생 생활폐기물의 잔존 폐기물 소각 처리도 적극 협조해달라고 요청했다. 업체들이 4대 기피품목을 아파트단지에서 가져와 선별작업을 한 뒤 드는 폐쓰레기 처리비용이 일반 생활폐기물의 4배에 달하는만큼 관련 비용을 지원해달라는 요청하고 있다.
김영철 대전재활용생활폐기물협의회 사무국장은 “대전시에서 이 조건을 수용하는 데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수거 거부 방침을 철회했다”며 “향후 대응책은 요구사항들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보면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5개구와 공동주택과 수거업체 간 재활용품 매각단가가 조정되도록 중재에 힘쓴다는 입장이다. 폐비닐등 재활용수거거부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공동주택 재활용품 수거체계를 개선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민들이 정확히 분리배출토록 홍보하고 적정 분리배출 점검도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 김추자 환경녹지국장은 “재활용품을 잘 분리배출하면 자원절약은 물론 재활용 비용도 절약하는 일석이조 효과가 있는만큼 더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시민들에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