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김 의원으로부터 오사카 총영사 추천왔으나 거부"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의원은 16일 지난해 5.9 대선 뒤 ‘댓글 추천수 조작 사건’ 피의자인 김모(48·필명 ‘드루킹’)씨로부터 지인의 오사카 총영사 인사 요청을 받은 뒤 이를 청와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또 대선 전에도 김 씨의 사무실을 방문하고 안희정 충남지사를 소개하는 등 몇 차례 만난 사실도 인정했다.
연합뉴스 등에 의하면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김씨에게 기사 링크(URL)를 텔레그램 메신저로 보낸 사실도 부인하지 않았다.
청와대는 이와관련, “김 의원의 추천이 들어왔지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해 수용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의원은 16일 지난해 5.9 대선 뒤 ‘댓글 추천수 조작 사건’ 피의자인 김모(48·필명 ‘드루킹’)씨로부터 지인의 오사카 총영사 인사 요청을 받은 뒤 이를 청와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그는 또 김씨의 요청으로 안희정 전 충남지사를 소개하는 등 몇 차례 만난 사실도 인정했다.[사진=충청헤럴드.연합뉴스]](/news/photo/201804/3513_4599_5334.jpg)
안 전지사와 드루킹과의 연루의혹에 대해 김 의원은 "대선 이후 드루킹이 안희정 전 충남지사를 강연에 초대하고 싶다고 해서 안 전 지사 측은 연결해 준 적이 있다"면서 "그러나 그(안 전지사소개) 외에는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5.9 대선때)공보를 맡는 동안 홍보하고 싶은 기사를 주위 분들에게 보내거나 한 적이 많다. 그렇게 보낸 기사가 전달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JTBC는 이와관련해 "드루킹과 안 전지사의 만남에 대해 김 의원이 정확한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으나, 확인한 결과 안 전 지사는 지난해 말 김 의원 측에 드루킹을 소개받고, 올초엔 경공모 회원들을 대상으로 강연회를 열었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충남도청으로 보낸 공문을 소개하며 "해당 특강 요청 경로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김경수 국회의원의 이름이 눈에 뛴다"면서 "강연 요청이 김 의원과 (노무현 정부때의)윤태영 전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충남도청 비서실로 들어왔다"고 밝혔다.
방송은 "'민주주의 강국, 진보의 미래'라는 제목의 이 문건에는 '경공모'의 실체도 잘 나타난다"고 소개한 후"2009년부터 활동을 시작한 이 모임은 공개된 카페 회원이 2137명, 내부 비밀 조직원은 526명에 달한다. 자신들의 온라인 세력도 과시한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특히 자신들의 댓글 활동에 대해 "문꿀오소리 등 극렬 지지자들과 별개"라며 조직적 댓글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며 "대선 기간 동안 하루 700건 이상 댓글을 달고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갖췄다. 특히 자신들이 '안철수는 MB아바타'라는 대대적인 네거티브 공격을 했다고도 내세우고 있다"고 했다.
여기에 "지난해 민주당 경선 당시엔 이재명 후보 지지자를 견제해 안희정 후보가 2위가 될 수 있었다고도 강조한다"고 덧붙인다.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의원(사진 왼쪽)이 지난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박범계 수석대변인이 참석한 가운데'민주당원 댓글조작' 연루 의혹과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4/3513_4600_2213.jpg)
김 의원의 이날 설명을 전후 맥락으로 보면 당시 문재인 후보의 구상 등을 잘 알린 기사 등이 있을 경우 평소 카카오톡이나 텔레그램 등 메신저로 연락하던 이들과 공유하는 차원에서 한 일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야당과 일부 언론에서는 김 의원이 특정 기사를 지정하면 ‘드루킹 그룹’이 해당 기사에 댓글을 달고 추천을 누르는 등 조직적 대응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김 의원이 김 씨에게 기사 링크를 보내면 “알겠습니다”라는 답을 보내곤 했다는 게 경찰의 조사 결과다.
기사 링크를 전달한 취지가 무엇이었는지, 김 의원이 김씨에게 기사 링크 외에 별도의 지시나 부탁을 했었는지 등이 경찰 후속 수사를 통해 가려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김 씨가 지난 2016년 11월부터 지난 3월까지 약 1년4개월간 김 의원에게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확인했다.
김 씨는 텔레그램 일반 대화방으로도 32개의 메시지를 보냈는데, 이를 읽은 김 의원은 가끔 “고맙다”는 메시지로 응답했다고 한다.
특히 지난 3월 한달간 김씨는 텔레그램 비밀방을 통해 기사 링크 3190개, 메시지 115개를 보냈는데, 김 의원은 이를 모두 읽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는 것이다.
경찰은 같은 시기 김 씨가 김 의원의 보좌관에게 인사 추천 거부와 관련해 협박성 메시지를 보낸 사실도 확인했다.
경찰은 이와함께 김 씨 등의 주거지와 사무실에서 휴대전화 170여개를 확보하고 중요해 보이는 30여개만 분석한 뒤 나머지 133개는 송치 때 검찰에 함께 보냈다고 밝혔다.
김 씨를 포함, 구속된 3명 외에도 김 씨가 운영하는 출판사 '느릅'의 직원 2명을 추가로 입건하고, 댓글 추천수 조작 가능성이 엿보이는 다른 아이디(ID)도 추적하고 있다.
경찰이 이날 공개한 내용에 비춰보면 김 씨가 김 의원과 연락을 주고받았던 대선 때엔 최초 수사 대상이었던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댓글 추천수 조작’은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한편 한겨레신문은 이주민 서울지방경찰청장이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김 의원이 김 씨에게 의례적으로 ‘고맙다’는 답을 한 적도 있긴 하지만, 김 씨가 보낸 글을 안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말했다.
경찰은 김 씨 등이 매크로 조작을 위해 관련 프로그램을 구입한 시점 역시 올해 1월인 것으로 파악했다는 것이다.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부장 이진동)는 김씨 등의 신병을 경찰로부터 송치받은 뒤 이날 구치소에 수감 중인 김씨에게 검찰청에 나와 조사를 받을 것을 통보했으나 김씨는 소환에 응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