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충남도, 산하기관 지역인재 채용 ‘인색'
충남도, 산하기관 지역인재 채용 ‘인색'
  • [충청헤럴드=안성원 기자]
  • 승인 2018.04.19 12: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곳 중 1곳, 3년간 ‘전무’…시·군 산하기관 절반에 그쳐
2015~2017년 충남도 산하기관 지역인재 채용현황.

최근 지방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의무채용을 놓고 세종시와 불협화음을 겪고 있는 충남도가 정작 본청과 산하기관에서 지역인재 채용에 인색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시·군 산하기관도 마찬가지.

19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해(9월 기준) 도 산하 17개 기관의 지역인재 채용실적을 분석한 결과 6개 기관은 지역인재를 채용한 실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충남연구원, 충남인재육성재단,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충남여성정책개발원 등 네 곳은 지난 2015년~2017년(9월 기준)까지 최근 3년 동안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4개 기관 가운데 1개 기관 꼴이다. 

15개 시·군의 산하기관도 비슷한 상황이다. 총 52개 기관 중 지난해 33개 기관에서 지역인재 채용이 없었으며, 절반 수준인 27개 기관은 3년간 실적이 전무했다. 시·군마다 설치된 장학 관련 기관은 공통적으로 3년간 실적이 없었다.

시·군별로는, 산하기관이 가장 많은 천안시가 5개 기관 중 천안시설관리공단을 제외한 4개 기관에서 지난해 채용 실적이 없었다. 이중 두 곳은 3년 동안 한명도 없었다.

보령시와 부여군은 4개 기관 중 3개 기관이, 당진시는 4개 기관 중 1개 기관, 아산시는 3개 기관 중 2개 기관이 3년간 전무했다. 

산하기관이 2개 기관인 지역에서는 서산시와 홍성군·계룡시가 두 곳 모두, 금산군·논산시·예산군 등이 1개 기관씩 3년간 실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하기관이 한 곳인 공주시와 청양군, 태안군 역시 모두 3년간 실적이 전무했다. 

도청 관계자는 “공공기관 별로 내부인사 규정이 다르다 보니 채용실적이 제각각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면서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TF를 구성해 내부 규정을 보완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공공기관별, 분야별로 나눠 담당자와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오는 10월~11월 정도면 표준안이 도출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충남은 세종시 건설로 인해 대전과 함께 혁신도시 지적지역에서 제외됐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 외 13개 시·도 중 11개 시·도가 지정됐다. 이로 인해 충남과 대전은 지방 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의무채용의 혁신도시법 혜택 대상에서도 소외된 상황이다. 

혁신도시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르면 전국에 조성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은 2020년까지 채용 인원의 최대 30%를 지역 대학 졸업생으로 뽑아야 한다. 세종은 기존에 19개 국책연구단지와 앞으로 이전할 21개 공공기관에서 인재를 채용한다. 대전은 이전 기관이 없고 충남은 두 곳 뿐이다.

이에 대전·충남·세종을 권역화 하자는 여론이 형성됐지만 세종시가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충청권 4개 시·도 상생협의회에서 이 문제가 논의됐지만 합의를 도출하진 못한 상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