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13 지방선거가 5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충남도지사 대진표도 사실상 확정됐다.
더불어민주당은 양승조 천안병 국회의원을, 자유한국당은 이인제 고문을 후보로 결정했으며, 바른미래당은 김용필 도의원이 예비후보로 나선 가운데 당내 경쟁자는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무소속 차국환 후보가 출사표를 던졌다.
큰 이변이 없는 한 이 중에서 민선7기 도정을 이끌 도백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특히나 어떤 도지사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도정방향이 좌우되는 만큼, 4년간 수장으로 모시고 일해야 하는 충남도청 공무원들은 신중한 입장이다.
공무원은 행정에 직접 관여하는 업무의 특성상 정치적인 중립을 지켜야 하는 의무가 있다. 그럼에도 ‘어떤 후보가 괜찮냐’는 주변인들의 질문 등 실제로는 공무원들이 지역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
또 투표에 대한 마음가짐도 남다르다. ‘내 최고 직장상사를 내 손으로 뽑는다’는 마음은 일반 시민들이 도지사를 선출한다는 것과 피부로 와 닿는 강도부터 다를 수밖에.
이런 이유로 ‘공직사회의 분위기’는 기자들이 민심을 파악하는 주요한 척도로 활용되곤 한다. 충남도청 역시 마찬가지다. 더군다나 안희정 전 충남지사 사태를 겪지 않았는가. 두 번 다시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는 건 모두가 한 뜻일 것이다.
그런데 충남도지사를 뽑지 못하는 도청 공무원이 상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9월 충남도의회 내포문화권발전 특별위원회 이종화 위원장의 요구로 조사된 도청공무원의 주소이전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2037명 중 ▲홍성군 896명 ▲예산군 80명 ▲홍성·예산 외 충남도 557명 ▲충남도 외 타 시·도 504명 등으로 나타났다.
타 시·도 주소지 504명…내포신도시 표류 반증
도청 직원 4명 중 1명은 충남도지사를 뽑을 수 없다는 의미다. 이들 대부분은 대전과 세종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도정을 위해 일하면서도 대전시장과 세종시장을 선출해야 한다.
사실 이 같은 현상은 1989년 대전시가 충남도에서 분리돼 직할시로 승격된 이후 계속돼 왔다. 충남도청 청사가 타 행정구역인 대전에 위치하게 됐고, 대부분 대전에 거주했던 도청직원들은 충남도지사 투표권이 없었다. 그들 나름의 가슴앓이였을 것이다.
짐작컨데, 충남도가 내포청사 시대를 맞게 된 2013년만 해도 직원들은 2014년 지방선거 뒤로는 이런 가슴앓이가 없을 줄 알았을 것이다. 그런데 2018년 선거까지 무려 25%나 되는 직원이 다시 겪어야 한다. 민선1기부터 7기까지 무려 28년간이나 되풀이 되고 있다.
내포신도시가 아직도 제대로 정착하지 못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아직도 대전에서 통근버스를 이용하는 직원들이 150~180여 명 정도 된다. 이주를 주저하는 여러 이유 가운데, 자녀들의 학교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졌다.
자녀가 아주 어리거나 대학입시를 마친 경우면 부담이 덜하지만, 입시 시기인 중·고생을 둔 직원들은 결정이 어렵다. 안희정 전 충남지사도 한 때 자기 아들은 경기도에서 고등학교를 다니게 하면서 직원들에게 내포 이전을 권유하고 있다는 비판에 시달려야 했다.
도는 통근버스를 2020년까지 연차적으로 감차해 2021년부터는 운행을 중단한다는 계획이다. 다음 지방선거는 2022년 치러진다. 민선8기 도지사 선거 때는 마음에도 없는 후보에게 표를 줘야 하는 충남도청 직원은 없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