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의료의 질 수준이 암을 비롯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분야 등에서 전국 최고수준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뇌졸증이나 정신질환 등은 의료의 질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조홍식)이 발간한 '2017 한국의료 질 보고서(책임연구자 : 강희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등)'에 따르면 대전의 암에 대한 의료질(효과성)은 지표값 81.3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지역의 의료의 질 수준이 암을 비롯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분야 등에서 전국 최고수준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뇌졸증이나 정신질환등 의료의 질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위 왼쪽부터 충남대병원. 건양대병원. 대전대병원. 을지대병원[사진=충청헤럴드]](/news/photo/201804/3706_4860_2825.jpg)
보고서 가운데 지역별 의료시스템의 질 수준 비교결과 같은 1 분위(16개 시도중 1-4위)에 속하는 서울(지표값 78.1점)보다 높은 수준으로 3위 경기도(68.8점) 및 4위 충남도(65.6점)와는 10점 이상의 큰 차이를 나타냈다.
심혈관 질환과 호흡기 질환은 지표값 100점을 기록해 전국 16개 시·도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와함께 당뇨병, 근골격계 질환, 기능상태 보존 및 재활의 경우에도 1 분위에 올랐다.
반면 뇌졸중(50.0), 정신질환(50.0), 생활습관 수정(55.6) 등 영역은 2-3 분위 수준이다.
질병에 대한 효과성만이 아니라 전체적인 의료 질 수준에서도 대전은 전국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지역별 영역별 전체 의료 질 현황을 보면 환자안전, 의료중심성, 시스템 인프라 영역 모두 지표값 100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의료연계(70.0점) 영역도 1 분위에 속했지만, 효율성(64.3점)과 접근성(50.0점)은 각각 2, 3 분위를 기록했다.
이같은 결과는 타 지역에 비해 대전의 의료자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연구원들은 보고서에서 "의료의 질을 8개 속성(의료 효과성, 환자안전, 환자중심성, 의료연계, 효율성, 접근성, 의료시스템 인프라, 형평성)으로 세분하고 모든 영역에서 격차를 감소시키는 개념적 틀을 바탕으로 2005년부터 최근까지 국내 변화와 국제 비교를 통해 의료의 질 향상에 대한 의료제공시스템의 성과를 평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고서 주요 목적은 전 국민의 건강수준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의료 경험 향상에 대한 의료시스템의 성과 변화를 추적 관찰하는 것에 있다"면서 " 보고서의 측정 결과는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에서 의료의 질 향상 활동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 당사자 간 소통과 조율의 기회를 확대시키고 개별 사업의 성과를 국가단위 성과로 통합시키는 이정표로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