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선택 전 대전시장이 추진한 대전지하철 2호선의 트램(노면철)방식을 두고 6·13 지방선거 대전시장 후보간에 핫이슈로 등장했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문제는 매번 지방선거와 지난 2016년 4.13 제20대 총선 때 대전지역희 관심정책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여야 후보 중에 정의당 김윤기 예비후보만 전면 백지화를 분명히 밝혔을 뿐 다른 여야 후보 3명은 '노상·지하혼용트램 방식', '타당성 결과후 입장표명', '재검토' 등으로 어물쩍 넘어가는 형태다.
![권선택 전 대전시장이 추진한 대전지하철 2호선의 트램(노면철)방식을 두고 6·13 지방선거 대전시장후보간에 핫이슈로 등장했다.[사진=대전시 제공]](/news/photo/201804/3728_4892_2035.jpg)
6.13지방선거를 40여일 앞두고 야권이 먼저 트램방식 재검토및 해법을 제시하고 나선 상태다.
자유한국당 박성효 예비후보는 26일 가장 먼저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한 구상을 밝혔다.
박 예비후보는 대전 서구 둔산동 자신의 선거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하와 고가를 혼용한 고속 트램(노면전철)을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구간에 따라 일부지역은 지하로, 또 일부지역은 고가를 혼용해 노면 교통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 정시성을 확보하고 평균 속도를 높이겠다는 게 그의 공약이다.
지하 구간의 경우 저심도 공법을 적용하면 트램의 단점으로 지적된 차로 잠식에 의한 차량 정체를 해소할 수 있고, 도심 외곽지역은 고가로 건설해 도시 경관 저해를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권 전시장이 추진해온 트램방식을 재검토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권 전 시장과 같은 당인 더불어민주당 허태정 예비후보는 신중한 입장이다.
그는 "자기부상열차에서 트램으로 건설방식이 변경되면서 타당성 재조사를 받는 것으로 결정 난 만큼 재조사 결과를 보며 입장을 정리하겠다"는 뜻이다.
그의 신중론은 권 전 시장이 자기부상열차대신 트램으로 변경한 점을 고려할 때 타당성을 충분히 검토해 트램방식이 효율적인지를 따져보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허 예비후보는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도시철도 2호선 문제는 기획재정부에서 타당성 재조사가 진행되는 만큼 기재부 조사 결과를 본 뒤 결정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바른미래당 남충희 예비후보는 재검토 가능성을 내비쳤다.
남 예비후보는 "트램으로 결정하는 과정이 공정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며 "시장에 당선된다면 시민과 전문가들이 논의하는 공론화 과정을 거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의당 김윤기 예비후보는 트램 백지화해 버스중심의 교통편의를 제공하겠다고 주장한다.
김 후보는 "트램은 다른 대중교통수단의 개선을 늦추는 대중교통 예산의 블랙홀이 될 것"이라며 "모두가 누릴 수 있는 편리한 대중교통을 위해 버스 중심의 대중교통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시철도 2호선은 시장이 바뀔 때마다 건설방식과 노선이 바뀌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2010년 선거에서 당선된 염홍철 전 시장은 후보 시절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에 대해 1호선과 같은 중전철(지하철)을 제시했다.
그러나 막대한 국비 확보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염 전 시장은 지상고가 방식의 자기부상열차로 변경했고, 예비타당성 조사까지 통과해 속도를 내는 듯했다. 반면 2014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권선택 전 시장은 후보 시절 '지하로 가는 트램'을 제안했다.
권 전 시장은 시장 당선 직후 시민 300여명이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과 기종을 토론하는 타운홀 미팅 등을 열며 시민 의견을 들었다.
당시 타운홀 미팅에서 시민들은 자기부상열차를 선택했지만, 권 시장은 트램으로 '깜짝' 결정했다.
자기부상열차에서 트램으로 건설방식이 바뀐 도시철도 2호선 사업은 지난해 말 기획재정부가 타당성 재조사 결정을 내림에 따라 현재 재조사가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