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충남도지사 후보 양승조-이인제 ‘아킬레스건’은?
충남도지사 후보 양승조-이인제 ‘아킬레스건’은?
  • [충청헤럴드=안성원 기자]
  • 승인 2018.05.29 01: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첫 TV토론회…양승조 “세종시, 탄핵발언”, 이인제 “천안병 사과”
경제정책, 인권조례 책임론 ‘팽팽’ 두 후보 주고받은 거짓말 공격
6.13지방선거 충남도지사 선거에 나서는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왼쪽)와 자유한국당 이인제 후보가 28일 KBS 대전총국에서 열린 첫 TV토론회에서 팽팽한 신경전을 펼쳤다. 

6.13지방선거 충남도지사 선거에 나서는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후보(59)와 자유한국당 이인제 후보(69)가 28일 KBS 대전총국에서 열린 첫 TV토론회에서 팽팽한 신경전을 펼쳤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두 후보가 공략하는 상대방의 약점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이인제 후보는 양승조 후보의 천안병 서약서 문제를 거론하며 ‘거짓말’ 프레임을 전개했고, 이에 양승조 후보는 세종시수정안과 대선경선불복 등 이 후보의 정치사를 거론하며 맞받았다.

충남도의 현안인 수도권규제완화와 충남인권조례에 관련해서는 서로의 정당의 책임론을 강조하며 치열한 공방을 펼치기도 했다.

칭찬인지 견제인지…날선 상대 후보평

이날 토론회는 상대후보에 대한 평가부터 날이 서 있었다.

이인제 후보는 “양 후보는 같은 당과 상임위에서 활동해보지 못했고, 큰 이슈로도 만나보질 못했다. 조용한 성품의 소유자로 인사성이 밝은 따뜻한 사람으로 알려졌는데, 이것이 장점이지만 단점이기도 하다. 충남도지사는 거친 환경에서 새로운 활력과 성장동력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고 평했다.

양승조 후보는 “6선의 경륜과 대선에도 두 번이나 나갔던 충청의 거물 정치인이다. 지난해에도 예비경선까지 나갔다. ‘피닉제’로 불릴 만큼 정치생명이 강한 것도 장점이다. 이런 경륜과 인간적인 선배 정치인으로는 존경하지만 촛불정국으로 이뤄진 탄핵이 옳지 않다고 말하는 등 지금의 시대정신과는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두 후보가 상대에 대해 어떤 약점을 공략할 지 분명하게 드러났다.

수도권규제로 인한 충남경제 침체, 누구 탓인가

충남경제의 어려움에 대한 관점은 상이했다. 서로 상대당 정권 때문에 겪은 피해를 언급하며 책임공방을 펼쳤다.

양 후보는 “2008년 충남에 이전한 수도권 기업은 378개였지만 이명박, 박근혜 정권을 거치며 수도권규제가 완화되면서 2017년에는 23개로 줄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수도권규제의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 후보는 “그렇지 않다.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가 법적 일몰을 맞아 수도권 기업의 이전이 감소한 것”이라며 “오히려 노무현 정권 때 미군기지 부지에 지방대학이 이전하게 됐다. 문재인 정권은 충남의 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삼성에게 작업환경측정보고서 공개하도록 압박, 기업기밀 유출에 직면해 있다. 안희정 전 충남지사 때는 황해경제자유구역이 무산돼 도민들이 피해를 입었다”고 반박했다.

인권조례 폐지 공방…이인제 과거 발언 ‘눈길’

인권조례 폐지와 관련해서는 이인제 후보가 불의의 일격을 당했다. 

양 후보는 “충남인권조례는 민주당이 압도적으로 적었던 2012년 현재 야당에 의해 제정됐는데, 2017년 야당의원들의 주도로 폐지됐다. 만약 문제가 있어 폐지했다면 제정한 야당 의원들이 먼저 사과해야 한다. 자유한국당 윤리규칙과 국가인권위에도 ‘성적지향’에 대한 차별금지는 명시돼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 후보는 지난 1997년 11월 대선 후보시절 한겨레신문과 인터뷰에서 ‘동성애는 사회에 저항하고 자신의 성 아이덴티티를 주장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동성애자를 하나의 신성한 인격체로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이 필요하다’고 했는데 이제와 인권조례를 반대하고 있다”고 의표를 찔렀다.

이 후보는 “우리당 도의원들이 인권조례를 통과시켰을 때 생각지 못한 부작용이 안 전 지사의 도정에서 발생했다. 그래서 다시 주도해서 폐지시킨 것”이라며 “97년 언론보도 내용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받아 넘겼다.

이어 “동성애를 한다고 해서 학대하거나 처벌하자는 것이 아니다. 다만 인권으로 포장해서 젊은 세대에게 동성애를 양성화하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도정을 맡게 된다면 대법원제소를 취하 하겠다”고 밝혔다.

충남인권조례, 경제문제 등의 문제에는 한 치의 양보 없는 팽팽한 설전이 이었졌다.

두 후보 모두에게 아팠던 ‘거짓말’ 공격

‘거짓말’ 공격은 두 후보 모두에게 적지 않은 부담이었다.

선공에 나선 이 후보는 “양 후보는 2016년 총선에서 천안병에 당선될 경우 지방선거에 출마하지 않고, 만약 출마로 인해 보궐선거가 발생할 경우 선거비용을 책임지겠다는 서약서를 작성했다”며 “그런데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 사실상 거짓말을 한 것”이라고 공격했다.

이에 양 후보는 “약속을 지키지 못한 건 천안시민과 충남도민께 정말 죄송하다. 이미 경선 과정에서 몇 번씩 사과를 했다. 선거비용은 지불하지 못하지만 행복한 충남을 만들어 몇 배로 돌려드리겠다”고 해명한 뒤, “이 후보는 통합민주당에 뼈를 묻겠다고 하고 공천에 실패하자 무소속을 나왔다. 실질적으로 거짓말을 한 셈”이라고 받아쳤다.

이 후보는 “당시 상황에서는 그것이 저의 충정이었다. 정치여건이 격동하는 상황에서 목적을 새로 정하고 움직여야 하는 것이 정치인의 숙명이다. 그 때문에 상처받은 분이 계시면 죄송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의정활동 평가…‘양’이냐 ‘질’이냐 설전

두 사람이 함께 활동했던 19대 국회의 의정활동 성적도 논쟁 대상이었다.

양 후보가 “이 후보는 19대 국회의원에 대한 시민단체의 평가에서 300명 중 274등을 한 적이 있다. 이런 상태로 도정을 성실히 맡을 수 있겠느냐”며 “대표 발의한 법안도 저는 65건이지만 이 후보는 9건이 전부”라고 꼬집었다.

그러자 이 후보는 “입법활동과 도지사의 업무는 다르다. 경기지사 때 가장 많은 일자리를 만들고 혁신적인 사업을 최초로 시도했다”며 “저는 590건 중 95건이 통과돼 처리율 15.9%를 보인다. 양 후보는 3800여 건을 발의해 184건이 처리, 처리율 4.3%로 4분의 1밖에 안 된다”고 맞불을 놓았다.

이밖에 양 후보는 이 후보가 세종시수정안에 찬성표를 던졌던 부분을, 이 후보는 민주당 도지사와 시장이 있던 상황에서 당진시 도계지역을 경기도 지역에 빼앗긴 책임을 물으며 신경전을 이어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