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6·25전쟁때 대전.공주생활상 컬러사진 239장 공개
6·25전쟁때 대전.공주생활상 컬러사진 239장 공개
  • [충청헤럴드=나지흠 기자]
  • 승인 2018.06.05 1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육군은 현충일을 하루 앞둔 5일 1950년대 한국의 생활상을 담은 컬러사진 239장을 공개했다. 그중에도 주로 대전과 공주지역을 담은 사진이다.  

육군이 공개한 사진은 6·25전쟁 당시 미군으로 참전한 토마스 상사(1910∼1988년)가 당시 한국의 생활상을 35mm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들이다.

사진 중에는 현재 철거된 대전 도심의 영렬탑과 주변 모습, 대전역과 신흥동 제3발전소, 1990년대 없어진 대전 둔산지구 비행장, 6·25전쟁 당시 파괴된 수원화성 장안문·팔달문 등의 모습이 담겼다.

뉴턴 대령이 기증한 1952년 주요 사진 [사진=연합뉴스]
뉴턴 대령이 기증한 1952년 주요 사진 [사진=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이 사진이 지역 향토사 연구에 매우 가치가 있는 기록물이라고 평가했다.

사진을 찍은 토마스 상사는 6·25전쟁 후 귀국, 찍은 사진들을 텍사스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보관해 왔다가 3년 전 외가에 들른 외손자 브랜든 뉴턴(Brandon D. Newton) 대령이 우연히 발견, 빛을 보게 했다.

1952년 대전역 모습 [사진=육군 제공.연합뉴스]
1952년 대전역 모습 [사진=육군 제공.연합뉴스]

주한 미 8군 소속 1지역대(Area Ⅰ) 사령관으로 복무 중인 뉴턴 대령은 해당 사진이 한국의 역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사진임을 깨닫고 외할아버지의 소중한 유산을 한국군에 기증했다.

육군은 사진을 기증받아 고증작업을 거쳐 이날 일반에 공개하게 됐다.

대전시립박물관 고윤수 연구사는 "사진의 상당수가 대전에서 찍은 것"이라며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당시 대전이 얼마나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는지를 증명해주는 기록물인 동시에 사진이라는 가장 사실적인 매체를 통해 1950년대 초 대전의 경관과 건축, 사람의 모습까지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어 사료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고 말했다

1952년 대전 선화동 영렬탑과 대전시가지 모습 [사진=육군제공.연합뉴스]
1952년 대전 선화동 영렬탑과 대전시가지 모습 [사진=육군제공.연합뉴스]

홍제연 충남역사문화원 연구원은 "공주읍내 전경사진은 정말 좋은 사진이고 매우 귀한 자료이자 가치가 있는 기록물"이라고 말했다.

육군은 이날 뉴턴 대령과 기증 협약식을 체결하고 원본을 영구 보존시설에서 안전하게 보존하고, 기증자의 뜻에 따라 지역 박물관과 군 연구기관에 사료로 제공할 방침이다.

기증 사진은 1952년 서울, 수원, 대전, 대구, 인천, 공주지역의 모습을 담은 239장의 필름원판 형태로 돼 있다. 열람을 원하는 연구자들은 육군기록정보관리단(특수기록담당 이혜정 주무관)으로 문의하면 무료로 사본을 받아볼 수 있다. ☎ 042-550-397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