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소득이나 보유 자산만으로 빚을 갚지 못하는 고위험가구가 1년 새 3만4천 가구나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빚을 갚지못하는 고위험 가구란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비율이 40%를 초과하고 자산평가액보다 총부채가 더 많은 가구를 의미한다.
![자신의 소득이나 보유 자산만으로 빚을 갚지 못하는 고위험가구가 1년 새 3만4천 가구나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사진=한국은행 홈페이지켑처]](/news/photo/201806/4833_6715_4832.jpg)
한국은행이 최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이나 보유 자산으로 부채를 상환하기 어려운 고위험 가구를 지난해 3월 말 현재 34만6천 가구로 추산했다.
이는 전년 동기 2016년 3월 말의 31만2천 가구보다 무려 3만4천 가구가 증가한 것이다.
고위험 가구로 분류된 34만6천 가구는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의 3.1%에 이른다.
미국의 금리인상 조짐에 맞춰 국내 은행도 대출금리를 1% 포인트나 2% 포인트씩 각각 인상할 경우 고위험 가구의 비중은 3.5%와 4.2%로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한국은행이 분석했다.
문제는 소득 하위 20%부터 40%까지 계층의 경우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1.0%가 고위험 가구로 나타나 소득 5분위 중 가장 높았다.
대출금리가 1% 포인트와 2% 포인트가 각각 상승할 경우 이 비중이 1.1%와 1.3%로 확대돼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계층인 것이다.
이어 소득 하위 40%부터 60%까지 계층의 경우 고위험 가구 비중이 현재의 0.7%에서 0.8%와 1.0%로 높아져 두 번째로 큰 타격을 받는 것으로 우려됐다.
작년 3월 말 현재 고위험 가구가 진 빚은 1년 전보다 1조 원 늘어난 57조4천억 원으로 전체 금융부채의 5.9%를 차지했다.
그렇지만 금리가 1% 포인트와 2% 포인트 각각 오르면 고위험 가구가 보유한 부채 비중은 7.5%와 9.3%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