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는 18일 금강 부여 백제보 개방과 관련, "겨울철 하우스 시설 농업에 지장이 없는지 등을 고려하라"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오후 충남 부여군에 있는 백제보를 방문해 "농민과 끊임 없이 소통해야 한다. 백제보가 그동안 어류 폐사도 많고, 녹조가 많은 편이었다"라면서 4대강 보 추가 개방 진행 상황을 점검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는 안병옥 환경부 차관을 비롯해 안희정 충남도지사, 정진석 국회의원, 이학수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이용우 부여군수 등이 동행했다.
정부는 내년 말로 예정된 4대강 보 처리 방안 결정에 앞서 지난 13일부터 백제보, 세종보 등 전국 7개 보를 개방했고, 모니터링 대상을 기존 6개 보에서 14개 보로 늘린 상태다.

그는 백제보 방문에 대해 "추가 개방에 따른 주변 주민의 걱정이 있을 수 있다"며 "농사를 제대로 지을까, 물고기가 죽어 나가는 건 아닐까, 녹조 개선에 정말 효과는 있는가 등등 의문이 있는데 그에 대한 대비를 확인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올여름에 6개 보 부분 개방을 했지만, 영농 기간과 겹쳐 양수 제한 수위 이하로는 안내려가게끔 조절을 했기에 보 개방의 효과를 평가하기엔 제약 있었을 것"이라며 "지금 하는 것은 수위의 저하 또는 보 개방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수질 개선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점검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안병옥 환경부 차관은 4대강 보 개방 현황과 모니터링 확대 계획, 보 추가 개방에 따른 현장 대응 계획, 내년도 영농기 대비 농업용수 대책 등을 보고했다.
안 차관은 "금강과 영산강에 수문 개방을 집중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다른 곳에 비교해서 겨울철에도 수질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도 클로로필-에이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겨울철 개방으로 이런 부분을 개선하려는 의도가 있다. 보 개방은 수생태계 변화를 고려해서 시간당 2~3cm 정도로 천천히 낮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가 "(수문 개방이) 수질 개선 효과를 거두려면 어느 정도까지 시간이 필요한가"라고 묻자, 안 차관은 "백제보는 3개월 이상 최저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봄·여름 녹조가 번성할 시기를 포함해서 내년 가을 정도 가면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보 개방 효과에 따른 결과가 나올 것 같다"라며 "금강과 영산강은 최저 수위를 유지하지만, 낙동강은 내년 영농기에 보 수위를 다시 올려야 할 것 같다"고 답변했다.
이 총리는 "녹조도 없는 겨울에 물을 빼서 무슨 모니터링을 하느냐는 우려가 있다. 겨울에도 녹조가 있느냐?"라고 물었다. 안 차관은 "창녕함안보는 지금도 녹조 개체 수가 만 개체 수 이상으로 녹조 경계 단계를 유지하고 있다. 과거에 없던 일이다. 낙동강은 녹조가 어떻게 줄어드는지 파악할 수 있다"고 답했다.
물부족을 우려한 이 총리가 '영농기 농업용수 공급에 따른 대책'에대해 묻자 "공주보 7개, 백제보에 3개 등 금강에는 양수 시설이 총 10개 정도가 있다. 백제보와 공주보의 수문을 바닥까지 내렸다가 다시 채울 경우 세종보는 2일, 공주보 4일, 백제보 4일, 총 10일이면 다시 채울 수 있다. 긴급할 경우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대청호의 물로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보 개방 효과를 판단하려면 얼마나 걸리나', '겨울에 기대만큼 눈이나 비가 안 오면 어떻게 하느냐. 보를 막으면 수위가 바로 올라가느냐', '녹조를 유발하는 생물체들이 겨울에도 살아있느냐', '어도(魚道·물고기가 다닐 수 있도록 한 길) 높이 조정은 불가피한 상태이지 않느냐' 등 꼬치꼬치 질문하고 대비책도 물었다.
그는 "(보 개방에 따라) 제기될 수 있는 문제가 뭔지 다들 숙지하고 있다. 주민께 걱정 안드리도록 설명 해드리고 지혜롭게 조정해가라"라며 "수량의 공급 가능 역량, 그리고 수질 경관에 대해서 과학적인 준비를 하셔야 한다. 그래서 주변에 농어민들이 걱정하실 경우에는 과학적 설명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