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장성급부터 솔선수범하자", 국방부 5개 서울 공관 없앤다
"장성급부터 솔선수범하자", 국방부 5개 서울 공관 없앤다
  • [충청헤럴드=송준호 기자]
  • 승인 2017.11.19 13: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평균 이용률 67일에 그쳐.
-서울 한남동에 통합관사로 운영될 듯

육·해·공군 총장의 공관은 충남 계룡대 외에 서울에 공관을 두고 있으나 서울 공관이 없어진다.

서울 공관 이용률이 낮은 육·해·공군 참모총장과 한미 연합사 부사령관, 해병대 사령관의 서울 공관을 없애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국방부 (사진=연합뉴스)
국방부 [사진=연합뉴스]

국방부의 한 소식통은 이날 "국방부가 3군 총장과 연합사 부사령관, 해병대 사령관 등이 이용하는 5개의 서울 공관을 없애기로 방침을 정했다"라면서 "고강도 국방 개혁안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군 고위층부터 솔선수범하자는 취지"라고 밝혔다.

이들의 서울 공관은 각 군 최고 지휘관이 서울에서 집무를 볼 수 있도록 보조적으로 운영하는 곳이나 연평균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정의당 김종대 의원은 "지난 10월 각 군에서 제출받은 국감 자료를 토대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각 군 최고 지휘관의 서울 공관 사용일은 연평균 67일에 불과했다"면서 "그중에  해군총장은 28일로, 한 해 동안 한 달도 채 서울 공관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대책을 추궁했다.

그러나 ​서울 한남동에 있는 국방장관, 합참의장 공관은 그대로 둘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국방장관과 합참의장의 서울 공관은 외국군 사절 만찬 등 군사 외교와 관련된 행사가 자주 열리고, 일선 지휘관 등에 대한 격려 행사도 종종 있어 그대로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충남 계룡대에도 3군 참모총장 공관 규모를 보면 육군은 건축면적(연면적) 1천 67㎡, 대지 면적 3만 2천㎡이며, 해군은 건축면적(연면적) 720㎡, 대지 면적 1천 947㎡, 공군은 건축면적(연면적) 671㎡, 대지 면적 1천 947㎡이다.

때문에 해군과 공군은 서울의 참모총장 공관이 없어지면 그 부지에 간부 숙소를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그러나 3군 총장과 연합사 부사령관, 해병대 사령관 등의 서울 공관을 없앨 경우 그 대신 서울 한남동의 국방장관 공관 옆에 '통합 관사'를 신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3군 총장과 해병대 사령관이 국회나 국방부에 서울에 출장 오면 간단히 집무를 볼 수 있는 사무실과 숙식을 하는 공간, 통합 연회실 등이 있는 통합 관사를 신축한다는 것이다.

서울에 근무하는 연합사 부사령관의 사무실도 통합 관사에 마련되며, 별도의 아파트에 공관이 마련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서울 한남동 국방장관 공관 근처에 있는 육군 총장과 연합사 부사령관의 공관을 허물고 그 부지에 통합 관사를 신축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장관 공관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해병대 사령관의 공관은 다른 용도로 사용될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육군 총장은 한남동에 1975년 건립된 건축면적(연면적) 799㎡, 대지 면적 9천 91㎡의 공관이 있다. 해군 총장은 대방동에 1982년 건립된 건축면적(연면적) 884㎡, 대지 면적 1만 3천914㎡ 규모의 공관을 두고 있다. 공군 총장도 대방동에 1982년 건립된 건축면적(연면적) 733㎡, 대지 면적 6천 5㎡의 공관이 있다.

연합사 부사령관의 한남동 공관은 1968년 건립됐으며 건축면적(연면적) 458㎡, 대지 면적 8천 977㎡ 규모이다. 해병대 사령관도 한남동에 1962년 건립된 건축면적(연면적 640㎡), 대지 면적 9천 653㎡의 공관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