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지역방송 종사자와 학계, 언론단체 대표자들이 모여 지방분권실현을 위해 지역방송 정상화가 선결과제라는데 뜻을 같이 했다.
지역언론학회연합회, 지역민주언론시민연합네트워크, 지역방송협의회 등 지역방송 정상화를 염원하는 지역언론학계, 시민사회단체와 지역방송 종사자 단체들의 연대기구인 '지역방송대표자회의 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원회)는 4일 대전시청에서 '지역방송 거버넌스 개혁'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준비위는 지방분권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첫 단계로 지역방송 정상화를 위한 제도 마련을 요구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2월 지역방송 발전위원회 위원들을 위촉한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방송통신위 제공]](/news/photo/201807/5206_7217_408.jpg)
준비위원회는 "지역방송 정상화를 위한 첫 걸음은 오는 8월 공영방송 이사 선임에서 시작한다"면서 "방송통신위원회는 법적 근거가 없는 정치권 추천을 배제할 것"을 주장했다.
이어 "공영방송 이사 추천 절차와 방식, 세부 평가기준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선임 과정에 시청자의 참여와 검증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 지방분권시대를 맞아 공영방송 이사회 구성 과정에서 지역 대표성을 가진 인사가 선임되는 구조가 보장되어야한다"며 "문재인 정부가 약속한 지방분권 국가를 이행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요건"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전국네트워크를 가진 KBS와 MBC의 공영방송 이사회 구성과정에서 지역대표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역’ 및 ‘지역방송’을 대표하는 단체의 공영방송 이사 추천권 보장이나, 심사기준에 ‘지역대표성’ 항목을 별도로 명기해 배점을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준비위는 "지역방송의 한 축을 이루는 지역민영방송 대주주의 방송 사유화를 막기 위해 소유지분 한도를 축소할 것"과 "소유와 경영 분리를 위한 사장임면동의제나 사장추천위원회 등의 제도 도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도건협 지역방송협의회 공동의장은 회견에서 “지역방송이 지방권력을 감시하고 견제하며 지역 공론의 장으로서 제대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방송의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도 의장은 "이는 성공적인 지방분권 시대를 열기위한 전제조건"이라며 "현재 서울에 있는 네트워크 key사의 영향력 하에 있는 지상파 네트워크의 전면적 개혁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준비원회는 이날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토론회와 국회 입법 청원, 지역 시청자 주권회복 운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도 개선을 이뤄내기 위해 노력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