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한국갤럽] 충청인, 10명 중 5명 주택대출 강화 '반대'
[한국갤럽] 충청인, 10명 중 5명 주택대출 강화 '반대'
  • [충청헤럴드=박상민 기자]
  • 승인 2018.07.06 12: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인은 10명 중 5명이 주택시장 대출규제를 더 강화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앞으로 집값 동향에 대해 10명중 2명이 '오를 것'으로, 반면 '내릴것', '불변'을 예상하는 답변이 각각 3명씩 전망했다.

6일 <충청헤럴드>가 조사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 이같이 답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지난 3~5일까지 정부 부동산 정책 등에 대해 설문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를 진행한 결과다.

충청인은 10명중 5명이  주택시장 대출규제를 더 강화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 것으로 집계됐다.
충청인은 10명 중 5명이 주택시장 대출규제를 더 강화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 것으로 집계됐다.

충청인들에게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잘, 잘못을 물었더니 '잘한다'는 응답이 30%(전국 24%)로 긍정평가가 전국에서 제일 높았고, '잘못한다' 20%(전국 31%)로 전국에서 제일 낮았다.

'어느쪽도 아니다'는 13%(전국 13%), '모름과 응답거절'이 36%(전국 33%)에 달했다.

한국갤럽은 이와 관련 "작년 '8·2 대책' 발표 직후 조사에서는 부동산 정책 긍정 평가가 44%였으나 이후로는 30%를 넘지 못하고 있다"면서"'8·2 대책'에서 가장 관심을 모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가 올해 4월 1일 시행됐고, 최근에는 종합부동산세 중심의 부동산 보유세 개편안이 확정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충청인들은 향후1년간 집값 추세 전망에서 '오를 것'이란 응답 24%(전국 29%)인 반면 '내릴 것' 30%(전국 29%), '변화가 없을 것' 31%(전국 27%)였고 '모름과 응답 거절'이 15%(전국 15%)였다.

갤럽은 전국적인 집값 전망에 대해 "향후 집값 전망에 따른 부동산 정책 긍정률은 향후 집값 하락 전망자(37%)에서, 부정률은 집값 상승 전망자(44%)와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의 주택 2채 이상 보유자(40%)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양도세 중과, 보유세 인상 등 다주택자를 겨냥한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반향으로 볼 수 있겠다"고 설명했다.

충청인들에게 본인이나 배우자 명의의 주택 소유여부에 대해 '보유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34%(전국 44%)로 전국에서 제일 낮았다.

반면 '주택을 보유했다'는 응답은 66%(전국 56%)로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1채 보유'51%(전국 44%)이며 '2채 이상 보유'14%(전국 12%)로 부산.울산.경남에 이어 두번 째로 2채이상 보유자가 많았다 .

주택시장의 대출규제에 대해 충청인들은 '더 강하게 규제해야한다'는 답변이 38%(전국 41%), '그럴필요없다'가 40%(전국 41%)로 엇비슷했으며 모름과 응답거절이 20%(전국18%)로 분석됐다.

한국갤럽은 "지난 3월 29일 국토부 관행혁신위원회는 과거 부동산 경기 부양책이 부적절했다고 지적했다. 박근혜 정부는 출범 초기 부동산 규제 완화 등 매매 활성화 정책을 폈다"면서 "그러나 정부의 부동산 매매 활성화 정책에 대한 공감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고 해석했다.

이어 "2013년 9월에는 '정부가 부동산 매매를 더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64%에 달했지만 2014년 7월·12월 53% → 2015년 8월 48% → 2016년 8월 41% → 2017년 1월 38%로 줄었다"면서 "특히 작년 1월에는 '정부가 부동산 매매를 활성화할 필요 없다'가 50%를 기록, 2013년 이후 처음으로 역전했다."고 밝혔다.

충청인들에게 본인이나 배우자 명의의 주택 소유여부에 대해 '보유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34%(전국 44%)로 전국에서 제일 낮았다.

반면 '주택을 보유했다'는 응답은 66%(전국 56%)로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1채 보유'51%(전국 44%)이며 '2채 이상 보유'14%(전국 12%)로 부산.울산.경남에 이어 두번 째로 2채이상 보유자가 많았다 .

문재인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충청인들은 '잘한다'는 답변이 75%(전국 71%)로 호남의 87%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

'잘 못 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14%(전국 18%)였고,'어느쪽도 아니다'가 6%(전국 6%), '모름 또는 응답거절'이 5%(전국 5%)로 나타났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713명, 자유응답) '북한과의 대화 재개'(20%), '대북 정책.안보'(16%), '외교 잘함'(12%), '소통 잘함.국민 공감 노력'(8%),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6%), '전반적으로 잘한다'(4%), '개혁.적폐 청산.개혁 의지', '서민 위한 노력.복지 확대'(이상 3%) 순이었다.

반대로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 부정 평가 이유로(177명, 자유응답)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42%), '대북 관계.친북 성향'(12%), '최저임금 인상'(9%), '세금 인상', '난민 문제'(이상 4%), '과도한 복지', '과거사 들춤.보복 정치', '북핵.안보'(이상 3%) 등을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월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11차 국무회의에서 " 부동산 중심의 낡은 담보관행에서 벗어나 편리하고 다양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월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11차 국무회의에서 " 부동산 중심의 낡은 담보관행에서 벗어나 편리하고 다양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제공]

충청권에서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10명 중 5명의 압도적인 지지를, 무당층이 응답자 10명 중 2명 이상이 됐다.

충청인의 지지정당율은 ▲더불어 민주당이 52%(전국 51%) ▲자유한국당 9%(전국 10%) ▲바른미래당 8%(전국 6%) ▲정의당 8%(전국 9%)였다.

민주평화당 전국에서 1%였고 기타정당 0%였다.

그러나 지지정당이나 선호정당이 없는 무당층이 충청권에서 무려 22%(전국평균 22%)로 수개월 째 20-30%를 유지하고 있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갤럽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