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인들은 최근 강제 공개된 국회의원 특수활동비에 대해 폐지하거나 제도를 고쳐야한다는 입장이 10명중 9명에 달했다.
9일 리얼미터가 CBS 의뢰를 받아 지난 6일 전국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4%포인트), 충청인들은 국회의원 특활비에 대해 '투명한 공개 등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응답이 59.1% (전국52.8%)였고, '폐지해야된다' 답변은 30.9%( 전국 42.3%)로 집계됐다.
![국회의원 특수활동비 용처를 말하는 전 자유한국당 홍준표의원[사진=KBS뉴스켑처]](/news/photo/201807/5317_7393_220.jpg)
리얼미터는 "투명한 공개 등 ‘제도 개선’ 여론은 대구·경북(TK)과 충청권, 수도권, 40대 이하, 민주당 지지층, 중도층과 진보층, 보수층 등 모든 이념성향에서 우세했다"면서 "이와달리 ‘폐지’ 여론은 호남과 부산·경남·울산(PK), 50대, 정의당과 한국당 지지층에서 많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제도 개선 70.7% vs 폐지 21.7%) ▲서울(53.1% vs 44.7%) ▲경기·인천(51.7% vs 44.4%)에서는 ‘제도 개선’ 여론이 대다수였다.
이와달리 ▲호남(43.7% vs 54.9%)과 ▲부산·경남·울산(43.1% vs 48.9%)에서는 ‘폐지’ 여론이 절반을 넘거나 우세했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제도 개선 57.1% vs 폐지 40.7%)에서는 ‘제도 개선’ 여론이 우세한 반면, 정의당(46.6% vs 52.4%)과 자유한국당 지지층(42.6% vs 48.5%)에서는 ‘폐지’ 여론이 다소 우세했다. 무당층(제도 개선 46.8% vs 폐지 43.8%)에서는 ‘제도 개선’과 ‘폐지’ 여론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연령별로는 30대(제도 개선 67.6% vs 폐지 24.6%)와 20대(57.7% vs 39.8%), 40대(52.0% vs 42.5%)에서 ‘제도 개선’ 여론이 절반을 넘었고, 50대(45.2% vs 52.7%)에서는 ‘폐지’ 여론이 우세했다. 60대 이상(제도 개선 46.2% vs 폐지 47.4%)에서는 ‘폐지’와 ‘제도 개선’ 여론이 팽팽하게 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는 7월 6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14,443명에게 접촉해 최종 501명이 응답을 완료, 4.4%의 응답률을 나타냈고, 무선(10%) 전화면접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고 밝혔다.
한편 참여연대는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앞에서 국회 특수활동비 폐지와 지출내역 공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통해 “2018년도 국회 특수활동비 지급을 당장 중단하고 2014년 이후 특수활동비 지출 내역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국회 특수활동비를 가장 많이 수령해왔던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특수활동비 반납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혀야 한다”며 “국회 특수활동비 폐지 당론을 모아달라”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지난 5일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동안의 국회 특수활동비 지출 내역을 전수 분석해 공개했다[사진=KBS켑처]](/news/photo/201807/5317_7394_242.jpg)
앞서 참여연대는 지난 5일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동안의 국회 특수활동비 지출 내역을 전수 분석, 공개하며, “그동안 국회의원들이 국민의 세금으로 조성된 특수활동비를 그 어떤 관리도 통제도 받지 않은 채 쌈짓돈처럼 낭비해 왔다”고 지적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