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후반기 원 구성이 마무리되면서 미뤄진 문재인 정부 2기 개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6.13 지방선거 직후로 예정됐던 개각은 후반기 국회 원구성이 늦어지면서 한달이 지나도록 뚜껑을 열지 못하는 상황.
그러나 여권 일각에서는 국회 후반기 원구성이 마무리 되면 2기 개각이 있을 거라는 전망과 함께 최종 결정권자인 문 대통령의 결심만 남겨두고 있는 상황이라는 데 이의가 없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대통령께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고 이야기를 듣고 있는 걸로 알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아직 대통령께서 (개각 단행) 결심을 하거나 생각의 범위를 좁힌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국회후반기 원 구성이 마무리되면서 미뤄진 문재인 정부 2기 개각 이 조만간 이뤄질 지 주목된다. 지난해 6월27일 취임후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첫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7/5422_7527_1456.jpg)
때문에 관전 포인트는 개각의 폭과 구체적인 내용이다.
문 대통령은 한 번 기용한 인물은 쉽게 바꾸지 않는 데다, 자율성을 최대한 부여하되 업무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는 인사 스타일로 봐 큰 개편은 아닐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경제와 민생 등 현안에 새 바람이 필요한 터라 현재로선 가늠할 뿐 인물 기용 폭은 구체화할 수 없다.
단지 최근 청와대 수석비서관 교체 사례를 비춰볼 때 과감한 규모로 개각이 이뤄질 수도 있다는 관측도 없는 것은 아니다.
![지난 1월2일 청와대에서 가진 무술년 새해 첫 국무회의에서 문 재인 대통령이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쳥와대 홈페이지 켑처]](/news/photo/201807/5422_7528_1820.jpg)
현재는 국회의원 중 입각한 장관이 교체될 가능성이 높다.
현역 국회의원으로 입각했던 김영록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6·13 지방선거에서 전남지사에 당선되는 바람에 공백이 생긴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자리는 당연한 개각 요인이다.
청와대 내부 기류도 현역 국회의원에 입각한 일부 부처들에 대한 장관 교체 필요성에 대체로 공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빈방문한 싱가포르 숙소에서 양국정상회담에 앞서 회담의제등을 검토하고 있다.[사진=청와대 홈페이지 켑처]](/news/photo/201807/5422_7529_2016.jpg)
문 대통령이 초기 내각 때 임명한 국회의원 출신 장관으로는 ▲고용노동부(김영주)▲행정안전부(김부겸)▲문화체육관광부(도종환)▲국토교통부(김현미)▲농림축산식품부(김영록)▲해양수산부(김영춘) 장관 등 모두 5명이었다.
이 중에 김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자리는 물론 적어도 1~2곳 부처의 장관은 필수 개각 대상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그렇지만 6.13 지방선거에서의 압승을 계기로 안정적인 국정 운영과 개혁 드라이브를 위해 개각의 범위를 더 넓혀 중폭 규모가 될 수있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현역 의원 출신 부처 장관에 국면 전환과 분위기 쇄신을 위해 1~2곳을 더해 중폭 규모로 개각이 단행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최근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은 최저임금 인상 정책을 둘러싸고 홍영표 민주당 원내 대표와 정면 충돌 양상을 보이면서 개각 1순위에 오른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지난 1월 무술년 첫해 연두 기자회견을 하는 문재인 대통령[사진=청와대 효자동 사진관 켑처]](/news/photo/201807/5422_7530_242.jpg)
문재인 대통령이 강조하는 당정청의 유기적인 움직임을 고려하면 이같은 파열음이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도 본인은 자신의 거취를 문 대통령에게 맡겼지만 8.25 더불어민주당 전국 대의원대회(전당대회) 당 대표 출마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김 장관은 '대통령의 복귀 사인'을 언급하며 당권 도전에 한 발 빼고 있지만 1년 9개월 남은 2020년 4월 제21대 총선에 나설 당내 인사들은 김 장관과 함께 해야한다는 저변의 기류를 무시할 수 없다. 때문에 판단 여하에 개각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여기에 의원 출신 장관은 아니라도 '기무사 계엄령 문건 외면 의혹'이라는 핫이슈와 '군내 여성 성추행 관련 행동거지 발언'등 으로 논란에 선 송영무 국방부 장관의 거취도 개각에 포함될지 미지수다.
그는 지난 3월 말 이석구 국군기무사령관으로부터 박근혜 정부 당시 작성된 계엄령 관련 문건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고 받고도 안이하게 대처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 '미니스커트', '행동거지' 발언 등 여성 비하 발언으로 안팎으로 사퇴 요구를 받고 있다.
![취임 2년차를 맞은 문재인 대통령의 1년 역정을 담을 청와대 홈페이지메인 화면[사진=청와대 홈페이지]](/news/photo/201807/5422_7531_2644.jpg)
다만 유일하게 남은 대전·세종·충남 지역 출신으로 유일하게 입각한 송 장관이 물러날 경우 국방 개혁을 대신할 인물이 현 시점에서 마땅치 않아 교체하기 힘들다는 것이 청와대 내부의 판단이다. 즉, 송 장관을 교체할 경우 국방 개혁의 상징에 내상을 입게 된다는 점도 부담인 듯하다.
이외에도 법무부(가상화폐 혼란), 교육부(입시제도 번복), 환경부(재활용 쓰레기 대란), 여성가족부(성희롱 대응 미흡) 장관 등에 대한 교체 가능성도 꾸준하게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