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1일 "직장 내 성희롱 및 성폭력이 발생한 해당 공공기업, 민간 기업의 기관장이나 부서장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홍종학 신임 중소벤처부장관 임명장 수여 후 가진 국무회의에서 “민간 기업과 공공기관을 막론하고 직장 내 성희롱과 성폭력이 끊이지 않아서 국민의 우려가 매우 크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여성가족부의 조사 결과를 인용, 문 대통령은 “직장 내 성희롱은 (가해자의)우월적 지위가 배경이 되기 때문에 여전히 (피해자들이)신고를 하지 못하고 피해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라면서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이 있어서도 안되지만, 피해자가 2차 피해를 겁내 문제 제기를 못한다는 것은 더더욱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이 인용한 여가부 조사 자료에 따르면 성희롱 피해자 중 78.4%가 신고 등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피해 경험을 갖고 있으면서 직장 내 기구를 통해 공식 처리한 비중은 0.6%에 그쳤다.
신고를 하지 않은 이유로는 절반에 가까운 48.2%의 응답자가 ‘문제를 제기해도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라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 대통령은 이어 “피해자가 두려움 없이 고충을 말할 수 있고 적절한 대응이 이뤄지는 직장 내부 시스템과 문화가 정착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면서 “특히 공공기관들에서부터 기관장들의 인식 전환과 더욱 엄정한 조치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충청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