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와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송영무 국방부장관과 민병삼 100기무부대장과의 지난 24일 국회 설전에 대해 송 장관을 맹비난했다.
김 한국당 원내대표는 25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송 장관은 대통령의 눈치를 살피다 보니 국방부장관이면서 자신의 부하로부터 하극상을 당하는 대한민국 국군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송 장관은) 이에 대해 국민 앞에 머리 숙여 사죄해야 한다"라고 했다.
그는 “어제(24일) 국방위는 국방 안보의 위기를 여실 없이 드러낸 목불인견이었다”라며 “송 장관과 기무사령관과 예하부대장들이 국민들에게 보인 추태는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것이 문재인 정부의 군인지 우리는 크게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라며 “하극상도 모자라 대한민국 국군 체제의 현 주소를 여실 없이 볼 수 있었다”라고 했다.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한 발 더 나갔다.
![송영무 국방장관(오른쪽)과 이석구 국군기무사령관(왼쪽)이 24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7/5677_7919_5740.jpg)
송 장관의 사죄를 넘어 장관직 사퇴와 경질을 요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민의의 전당인 국회에서 국방부 장관과 예하부대 사령관 사이에 설전이 벌어지는 상황에 아연실색할 수밖에 없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송 장관은 정상적인 임무 수행이 가능한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며 "송 장관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 청와대도 송 장관의 거취에 대해 결단을 내리기를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 과연 독립 수사단의 수사가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전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송 장관과 기무사 지휘관들 사이에 벌어진 낯뜨거운 '진실 공방'은 국민에게 엄청난 실망을 주는 중대 사태다.
발단은 무소속 서청원 의원이 이석구 기무사령관에게 “송 장관에게 계엄 문건을 보고할 때 송 장관이 바쁘니까 놓고 가라고 했다는데 맞느냐”라고 물으며 시작됐다.
이에 이 사령관은 ''지난 3월 16일 문건을 보고할 당시 대단히 중요한 사항이고 위중한 상황임을 설명했고, 당시 송 장관도 위중한 상황으로 인지했고 20분쯤 보고를 받았다''고 했다.
송 장관은 계엄 문건을 6월 28일 최초로 청와대에 보고한 만큼 이 사령관의 주장대로라면 송 장관은 문건의 심각성을 인지하고도 세 달 동안 이를 방치한 셈이다.
이에 송 장관은 이 사령관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이 사령관이 5분 정도 보고를 했는데 계엄 관련 문건이 아닌 지휘 일반 보고를 받았고 해당 문건은 두꺼워 다 볼 수가 없어 놓고 가라고 했다”라며 이 사령관이 수사의 필요성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했다.
결국 둘 중 한 사람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왼쪽)과 이석구 국군기무사령관 [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7/5677_7920_5936.jpg)
이어 송 장관은 국방부를 담당하는 민 100기무부대장(대령)과도 공방을 벌였다.
민 대령은 “장관이 7월 9일 오전 간담회에서 내가 법조계에 문의해 보니 문제될 게 없다고 한다. 나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다만 직권남용에 해당되는지 검토해 보라고 했다”라고 증언했다.
이어 “당시 간담회에 14명이 참석했고, 저는 기무사와 관련한 말씀이어서 명확히 기억한다”며 “36년째 군복을 입고 있는 군인의 명예와 양심을 걸고 답변한다”고 했다.
이에 송 장관이 “완벽한 거짓말이다. 대장까지 지낸 국방장관이 거짓말을 하겠나”라고 반발했다. 민 대령은 송 장관의 답변을 듣고 “당시 간담회 내용을 담은 문서는 운영 과장이 PC에 쳐서 기무사에 보고했다”고 했고, 이 사령관은 “국방위가 요청하면 해당 문서를 제출하겠다”고 했다.
송 장관의 군사 보좌관인 정해일 준장은 민 대령을 향해 “이 자리가 경악스럽다. 지휘관의 발언을 왜곡, 각색해 국민 앞에 발언하는 건 유감스럽다”라고 반박했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공세에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나섰다.
추미애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송영무 국방부장관과 기무사 사이의 진실게임인 것처럼 하면서 현 국방부 장관을 '거짓말쟁이'로 만들어 개혁 의지를 좌초시키려는 양상이 있다"라며 "장관을 거짓말쟁이, 말실수 하는 사람으로 몰고 가는 구도에 대해 언론과 군 조직은 문건의 진상을 밝힐 수 있도록 협조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국방부 장관이 쿠데타 조직 엄청난 보고를 받고 그 조직적 저항이 어떤 선까지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신중한 자세로 즉답을 회피했을 가능성이 크다"라며 "(기무사 등의 반발은) 달을 가리키는데도 손가락이 굽었다거나 삐딱하다고 하고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기무사 계엄령 실행 계획은 전두환의 12.12 쿠데타와 다를 바 없는 2017년 버전 12.12"라며 "폭력에 의해 헌법 기관 권능 행사를 불가능하게 하는 건 어떤 경우에도 용인될 수 없다. 이 땅에 나쁜 역사가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영표 원내대표도 "이번 사안을 국방부장관과 기무사 사이의 진실 공방으로 몰아가 사건의 본질을 흐리려고 해선 안 된다"라며 "이번 사건의 본질은 기무사 문건 자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