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연기된 2018학년도 수능 23일...전국 1180개 시험장서 치러
연기된 2018학년도 수능 23일...전국 1180개 시험장서 치러
  • [충청헤럴드=고광산 기자]
  • 승인 2017.11.22 0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9만 3천여 명 응시...휴대전화 등 반입 금지.
-아날로그 시계만 가능.
-4교시 한국사는 필히 응시해야 유효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22일 오후 경북 포항시 북구 포항여자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중 지진 발생 시 대처요령을 살펴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22일 오후 경북 포항시 북구 포항여자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중 지진 발생 시 대처 요령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16일로 예정됐던 수능이 포항 지진으로 일주일 연기된 23일 전국 85개 시험 지구, 1천 180개 시험장에서 치러진다.

◇수능시험=2018년 수능에는 59만 3527명이 응시해 지난해의 60만 5987명보다 인원이 2.1%인 1만 2460명 줄었다.

시험은 ▲오전 8시 40분 1교시 국어 영역(08:40∼10:00)을 시작으로▲ 2교시 수학(10:30∼12:10)▲ 3교시 영어(13:10∼14:20/ 듣기 평가 13:10∼13:35)▲ 4교시 한국사·탐구(14:50∼16:32)▲5교시 제2외국어·한문(17:00~17:40) 순으로 오후 5시 40분까지 이어진다.

= 21일 오후 경북 포항시 남구 대이동 이동중학교에서 학교 관계자가 시험실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지진 영향으로 포항여자고등학교에서 수학능력시험을 보기로 예정됐던 학생들은 대체시험장인 이동중학교에서 시험을 치른다(사진=연합뉴스)
21일 오후 경북 포항시 남구 대이동 이동중학교에서 학교 관계자가 시험실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지진 영향으로 포항여자고등학교에서 수학능력시험을 보기로 예정됐던 학생들은 대체 시험장인 이동중학교에서 시험을 치른다. [사진=연합뉴스]

◇수험생 유의 사항=모든 수험생은 오전 8시 10분까지 시험장에 들어가야한다.

시험장에는 휴대전화를 비롯해 스마트 워치·밴드를 비롯한 스마트 기기와 디지털카메라·전자사전·태블릿PC·MP3·카메라 펜·전자 계산기·라디오·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등 모든 전자 기기 반입이 금지된다.

올해는 휴대 가능한 시계 범위가 더욱 줄어든다. 결제·통신 기능과 전자식 화면 표시기가 모두 없고 시침과 분침(초침)만 있는 아날로그 시계만 가져갈 수 있다.

수험표를 잃어버렸다면 응시 원서에 붙인 사진과 같은 원판으로 인화한 사진 한 장과 신분증을 갖고 시험장에 있는 시험 관리 본부에서 재발급받으면 된다.

필수 영역인 4교시 한국사에 응시하지 않으면 시험 전체가 무효 처리되고 성적 통지표도 받을 수 없다.

수능 연기와 상관 없이 원활한 시험 진행을 위한 대책은 그대로 시행된다.

이에 따라 전국 시 지역과 시험장이 설치된 군 지역의 관공서 출근 시각이 오전 9시에서 오전 10시 이후로 늦춰진다.

지하철과 열차 등은 혼잡 시간대 운행 시간이 2시간 연장되고 운행 횟수도 늘어난다.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도 오전 6시∼10시 사이 집중 배차된다.

◇수능 앞서 22일 예비 소집=올해 수능을 하루 앞둔 22일 전국 85개 시험지구, 1천 180개 시험장에서 수험생 예비 소집이 이뤄진다... 지난 16일로 예정됐던 수능이 포항 지진으로 일주일 연기된 데 따른 두 번째 예비 소집이다. 예비 소집 시간은 17개 시·도별로 다를 수 있으며, 시험 지구별로는 똑같다.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예비소집을 마치고 귀가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22일 오후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예비 소집을 마치고 귀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수험생들은 정해진 시간에 시험장을 방문해 유의 사항을 확인하고 시험실 위치를 미리 확인해두는 게 좋다. 특히 여진 가능성에 대비해 지진 대피 요령을 숙지해둬야 한다.

지진의 진앙지인 포항 지역의 경우 지난 15일 예비 소집 장소에서 이날 오후 2시에 실시한다.

예비 소집 시간 전에 강한 여진이 발생하면 수험생들은 수능일인 23일 포항 밖에 마련된 예비 시험장으로 개별 이동해 시험을 치르게 된다. 예비 소집 이후 여진이 일어날 경우 시험 당일 포항 시험장에 모여 버스로 함께 이동한다.

포항 이외 지역의 경우 고사장은 수능 이전과 변동이 없지만 시험을 치르는 교실은 바뀐다. 정부는 여진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수능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기상청과 시·도교육청을 비롯한 관계 부처와 기관,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히 협력하고 경찰, 소방당국과 핫라인을 운영한다.

전국 수능 고사장에는 소방 공무원이 2명씩 배치되고, 포항 지역 시험장에는 구조대원 2명씩 추가 배치된다.

이들은 고사장의 건물 구조와 대피로, 소방 시설 등을 사전에 파악해 화재 등 유사시에 대피를 유도하고 응급 환자 발생 시 신속히 처치하는 임무를 맡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