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2년부터 적용할 대입개편 공론화 조사에서 결론을 내지 못했다.
현재 중3 학생들이 치를 2022학년 대입공론화 조사에서 수능선발비중을 45%이상 높이는 안과 수능을 절대평가화하는 안이 엇비슷하게 3일 나왔다.
이에따라 근소한 차이인 시나리오 1(대입수능 선발인원 비중을 45%로 증원하는 계획)과 시나리오 2(수능을 절대평가화하는 방안}을 놓고 교육계의 찬반논란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김영란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이 3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8/5871_8139_5025.jpg)
연합뉴스 등에 의하면 국가교육회의 대입개편 공론화위원회(위원장 김영란 전 국가권익위원장)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4가지 개편 시나리오에 대한 지지도 조사 결과, 시나리오 1과 시나리오 2가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공론화위는 단지, 두가지 방안을 놓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절대 다수가 지지한 안도 없없다고 공개했다.
이 결과는 국가교육회의에 제출된다. 국가교육회의 대입개편 특위는 이를 바탕으로 7일 교육부에 넘길 대입제도 개편 권고안을 발표한다.
시민참여단 490명이 참여한 5점 만점의 지지도 조사에서 시나리오 1은 평균 3.40점, 시나리오 2는 3.27점을 받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시나리오별로 '지지한다' 또는 '매우 지지한다'를 선택한 비율로 본 '지지 비율' 비교에서도 시나리오 1은 52.5%, 시나리오 2는 48.1%였다.
공론화위원으로 참여한 강현철 호서대학교 빅데이터경영공학부 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려면 시나리오 1과 2 사이에 평점 0.23점, 지지 비율 7.8%포인트 이상의 차이가 있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도표=연합뉴스]](/news/photo/201808/5871_8140_516.jpg)
수능위주 전형의 적정 비율은 현행보다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일반대학의 수능위주 전형 비율은 올해 치러질 2019학년도 대입은 20.7%, 2020학년도 19.9%다. 수능위주 전형의 적정 비율과 관련해 '20% 미만'이라는 의견은 9.1%에 그쳤고, '20% 이상'이라는 의견이 82.7%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구간별로 보면 수능위주 전형이 '40% 이상 50% 미만'이어야 적절하다는 의견이 27.2%로 가장 많았고, '30% 이상 40% 미만'이 21.2%로 뒤를 이었다.
한동섭 공론화위 대변인은 서로 상반되는 정시모집 확대와 수능 절대평가 모두 지지도가 높았다는 점에 대해 "(정시를) 늘렸으면 좋겠는데 45% 이상은 과도한 것이 아니냐고 해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반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은 현행보다 늘려야 한다는 의견과,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비슷했다.
세부적으로는 학종전형의 적정 비율을 '30% 미만'이라고 밝힌 시민참여단 비율이 36.0%, '40% 이상'이라고 밝힌 시민참여단이 35.3%였다. 일반대의 학종전형 비율은 2019학년도에 37.0%, 2020학년도에 36.7%다.
수능 평가방법과 관련해서는 절대평가 과목 확대가 적절하다는 의견이 53.7%(전과목 절대평가 26.7% + 절대평가 과목 확대 27.0%)로 상대평가 과목 확대가 적절하다는 의견 34.8%(전과목 상대평가 19.5% + 상대평가 과목 확대 15.3%)보다 많았다.
![김영란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이 3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08/5871_8141_5153.jpg)
영어·한국사를 제외한 모든 과목이 상대평가인 현행 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11.5%였다.
공론화위는 이번 조사 결과와 관련해 "시민참여단은 시나리오별 단점에 대한 대안을 교육 전문가와 정책당국에 분명하게 요구한 것"이라며 "또, 학생부위주전형의 지속적인 확대에 제동을 걸고 수능위주 전형의 일정한 확대를 요구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공론화위는 또, 정책당국이 중장기적으로 수능 절대평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