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의 상수도 보급률이 전국 최하위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의회 김득응 의원(천안1)이 5일 열린 제306회 임시회 2차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도민 물 복지 향상을 위한 제언에 나섰다.
김 의원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도내 상수도 보급률은 94.6%(전국 평균 98.9%)로, 전국 최하위에 머물러 있다. 문제는 상수도 보급률이 수치상으로 보이는 것과 다르게 같은 시군에 거주하더라도 도시 지역과 농어촌지역 간 편차가 크다는 점.
실제 천안지역의 경우 상수도 보급률이 95.5%에 달하지만, 동부지역의 병천면 등 8개 읍·면은 60~80%에 그치고 있다. 그나마도 상수도를 사용하는 가구는 20~30%에 그쳐 대부분이 지하수와 계곡수 등 소규모 급수시설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 김 의원의 주장이다.
김 의원은 “대부분 상수도관이 큰 도로에 메인 관로를 설치하고 각 가정으로 인입해 계량기를 설치해야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인입하는 설치비용을 지불해야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며 “그 금액이 많게는 400만 원까지 책정되고 있다. 고령화에 접어든 시골지역의 경우 그 금액을 부담하기 버거운 게 현실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가뭄으로 지하수가 고갈 위기에 있고, 산업단지 등 오염시설 확대와 구제역 등으로 인한 동물사체 매립 등으로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다. 먹는 물이 돌연 도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며 “식수의 오염은 중장기적으로 도민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농촌지역 상수도 설치비용 지원을 통해 도민의 먹는 물 복지 향상을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천안시 읍・면・동별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수질검사 결과 자료에 부족합 판정을 받은 곳이 많다. 오염된 음용수에 노출된 도민의 건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양승조 지사는 “상수도보급률 최하위는 어떤 이유든 반성하고 좀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충남의 경우 도농복합도시로서 거주지가 분산돼 있다 보니 상수도보급 예산이 많이 소요된다. 예산문제가 확보되지 않으면 어려운 문제”라고 해명했다.
계속해서 “2018년 870억 원을 투입하는 등 2019년 말까지 보급률 95.8%를 달성하려 한다. 특히 부여와 청양 등 예산확보가 어려운 시·군을 신경쓰겠다”며 “농촌지역 인입선 설치비용도, 농어촌 환경개설사업 시 일정반경까지 설치해 주는 등 사업자가 부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