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충남도, 상수도보급률 전국 최하위 대책은?
충남도, 상수도보급률 전국 최하위 대책은?
  • 안성원 기자
  • 승인 2018.09.05 17: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도의회 김득응 의원 도정질문…“농촌지역 자부담 감소책 필요”
상수도 보급률 확충을 주문하고 있는 충남도의회 김득응 의원.

충남도의 상수도 보급률이 전국 최하위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의회 김득응 의원(천안1)이 5일 열린 제306회 임시회 2차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도민 물 복지 향상을 위한 제언에 나섰다.

김 의원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도내 상수도 보급률은 94.6%(전국 평균 98.9%)로, 전국 최하위에 머물러 있다. 문제는 상수도 보급률이 수치상으로 보이는 것과 다르게 같은 시군에 거주하더라도 도시 지역과 농어촌지역 간 편차가 크다는 점.

실제 천안지역의 경우 상수도 보급률이 95.5%에 달하지만, 동부지역의 병천면 등 8개 읍·면은 60~80%에 그치고 있다. 그나마도 상수도를 사용하는 가구는 20~30%에 그쳐 대부분이 지하수와 계곡수 등 소규모 급수시설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 김 의원의 주장이다.

김 의원은 “대부분 상수도관이 큰 도로에 메인 관로를 설치하고 각 가정으로 인입해 계량기를 설치해야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인입하는 설치비용을 지불해야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며 “그 금액이 많게는 400만 원까지 책정되고 있다. 고령화에 접어든 시골지역의 경우 그 금액을 부담하기 버거운 게 현실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가뭄으로 지하수가 고갈 위기에 있고, 산업단지 등 오염시설 확대와 구제역 등으로 인한 동물사체 매립 등으로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다. 먹는 물이 돌연 도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며 “식수의 오염은 중장기적으로 도민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농촌지역 상수도 설치비용 지원을 통해 도민의 먹는 물 복지 향상을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천안시 읍・면・동별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수질검사 결과 자료에 부족합 판정을 받은 곳이 많다. 오염된 음용수에 노출된 도민의 건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양승조 지사는 “상수도보급률 최하위는 어떤 이유든 반성하고 좀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충남의 경우 도농복합도시로서 거주지가 분산돼 있다 보니 상수도보급 예산이 많이 소요된다. 예산문제가 확보되지 않으면 어려운 문제”라고 해명했다.

계속해서 “2018년 870억 원을 투입하는 등 2019년 말까지 보급률 95.8%를 달성하려 한다. 특히 부여와 청양 등 예산확보가 어려운 시·군을 신경쓰겠다”며 “농촌지역 인입선 설치비용도, 농어촌 환경개설사업 시 일정반경까지 설치해 주는 등 사업자가 부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대답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