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일 방송의 날 행사에 참석해 밝힌 내용이 지상파에서는 매우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그중에도 “불필요한 규제는 제거하고 간섭하지 않겠다”는 대목에 관심이 뜨겁다. 이날 MBC '뉴스데스크'나 SBS '8뉴스'는 문 대통령 발언 중에서 “규제 개선”을 집중 부각했다.
10일 <충청헤럴드>가 지상파 방송사들이 이 대목에 집중하는 이유를 들어보니 이들 방송3사가 그간 숙원이던 '중간광고'제도 도입 때문이었다. 그것도 연내 도입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이다.
방송사들은 자사 뉴스를 동원해 중간광고 도입 필요성을 적극 주장하는 한편 학술 토론회를 통해 논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사진=MBC블로그 켑처]](/news/photo/201809/6634_9195_712.jpg)
지상파 방송사들은 중간광고를 허용할 경우 광고 수익 감소에 따른 적자분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호성)도 연내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 재검토와 종편 비대칭 규제 개선안을 내놓겠다고 밝히고 있어 지상파 방송사의 중간광고도입에 대한 절호기회로 받아들이고 있다.
pd저널에 따르면 광고학회는 지난 7일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의 후원을 받아 ‘지상파 방송광고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고 보도했다. 세미나역시 ‘지상파 방송광고의 현황’과 ‘지상파 방송광고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측면의 개선방안’이 세부 주제였다고한다.
지상파 방송사가 요구하는 '비대칭 규제 개선'의 핵심은 중간광고다.
방송 사업자 가운데 지상파에만 중간광고를 금지하고 있어 공정한 경쟁을 막고 있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그런 이유로 방송협회는 7일 성명서를 냈다.
성명에서 이들은 “지난 정부가 유료방송과 종편에만 과도한 특혜를 제공하고 지상파방송은 차별적 규제로 손발을 묶어 국민을 위한 지상파방송의 의무 실현이 한계에 이르렀다”고 지적하며 “시청자 복지와 방송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같은날 조능희 MBC 기획편성본부장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회에 출석해 “정치적 논리로 일부 채널 방송사에 특혜를 줬는데, 같이 폐지하든지 같은 조건에서 경쟁하자는 뜻”이라며 “중간광고 (허용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언급했듯이 지상파 방송 3사가 ‘중간광고’ 도입을 관철시키겠다는 의지는 중간광고가 허용되면 광고 수익 감소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광고업계에선 지상파 중간광고 기대 효과를 연간 1000억원 정도로 추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상파 광고 매출이 하향추세인 점을 감안하면 역부족이다.
방통위가 발표한 '2017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지상파 방송사 광고 매출은 1조 4,121억 원으로 2016년(1조 6,228억 원)과 비교하면 1년 사이에 2,107억 원쯤 감소했다.
지난 2005년까지만 해도 연간 2조 4천억 원이던 지상파 광고 매출이 10여년 사이에 40% 정도 줄어든 것이다.
지상파에서 빠진 광고 수익은 종합편성채널을 비롯한 IPTV 등의 여타 방송사업자들에게로 돌아갔다.
pd저널에서 지상파 방송사 관계자는 “광고 수익 증가에 대한 기대보다는 광고 이탈을 막아야 한다는 위기감이 크다”고 했다.
그는 “지상파 방송사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경쟁력은 다른 사업자들과 비교해도 나쁘지 않은데, 광고주 입장에선 중간광고를 할 수 없는 지상파의 매력이 떨어 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중간광고 도입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는 입장이나 여론은 여전히 호의적이지 않다고 한다.
지상파는 지속적으로 중간광고 허용을 추진했으나, 시청자들의 반대 여론과 신문업계 등의 반발로 번번이 무산됐다.
최근 지상파 방송사가 ‘중간광고’ 도입에 목소리를 높이자 경쟁 사업자들도 견제 모드에 들어간 모습이다.
남태영 PP(Program Provider)협의회장도 지난 5일 '매일경제'에 기고한 글에서 “ 지상파의 광고매출로 경영이 악화됐다고 주장하지만, 유료방송 채널에 비해 여건은 훨씬 좋은 상황”이라며 “지상파 방송은 광고매출 감소를 보전하기 위해 중간광고 도입 등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기에 앞서 내부 유보금 활용, 그보다 더 근본적으로 경영 효율화 작업에 뼈를 깎는 혁신을 선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