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만 관객을 모은 ‘변호인’이라는 영화가 있다. 영화에서 송우석 변호사(송강호)가 진우(임시완)의 변호를 맡는다. 송 변호사는 어느 날 법원 계단에서 고교 동창이자 신문사 기자인 이윤택(이성민)을 맞난다.
이윤택은 친구 송 변호사에게 말을 건다. “돈 엥가히 벌드만 이제 심심한가베. 니 정치하는 게 목표고?”(이성민). “윤택아 그게 아이고…”(송강호).
그 후 장면도 있다. 재판 과정에서 진우의 무죄를 주장하던 송 변호사는 법원 뒤편에서 선배 박 변호사(차광수)로부터 형량에 대한 협상을 제안 받는다.
송 변호사가 진우의 무죄를 주장하자 박 변호사가 “법대로라면 현직 대통령부터 구속해야지”라고 반박한다.
변호인이라는 이 영화의 백미(白眉)는 송 변호사가 재판부를 향해 외치는 장면이다.

송 변호사는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서 나온다. 국가가 국민입니다”, “여기 피고인들 모두 피고인이 아니라 이 부당하고 폭력적인 공권력의 피해자인 겁니다”라고 호소한다.
2층으로 올라가 구석을 돌면 재판에 들어가지 못하는 가족이 항의하는 모습도 있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송 변호사가 진우의 어머니(김영애)에게 “걱정하지 마이소”라고 말하며 법정으로 들어간다.
영화에서 진우를 변호하기 위해 법원으로 차를 몰고 들어오는 송 변호사에게 한 무리가 계란을 던진다. 이를 본 윤택이 화장실에서 자신의 양복 재킷을 벗어준다. 이 역시 충남도청 광장 등에서 촬영한 장면이다.
변호인은 60회차의 촬영 가운데 법정장면 등 14회차를 대전에서 찍었다. 촬영지 배경이 대전시 선화동에 있는 옛 충남도청사다.
옛 충남도청사 건물은 화제의 변호인을 비롯해 올 상반기 종영한 ‘라이프 온 마스’를 촬영한 곳이기도 하다. JTBC 드라마 ‘미스티’와 ‘언터처블’의 배경으로 사용하는 등 영화·드라마의 촬영지로 인기를 얻고 있다. 도청 건물이었기에 법원과 경찰서 등 주로 관공서가 배경으로 등장했다.
![옛 충남도청사에서 사무실에서 촬영중인 영화 변호인[사진=대전시청제공]](/news/photo/201810/7045_9807_3340.jpg)
옛 충남도청 건물 1층으로 들어가면 송 변호사와 신문기자 윤택이 조우하는 계단도 그대로다. 계단 뒤로 나 있는 나지막한 문을 열고 나가면 오른쪽 화단에 벤치가 놓여 있다. 송 변호사가 선배 박 변호사와 다투던 곳이다.
지난 8얼 5일 16회를 끝으로 종영한 ‘라이프 온 마스’는 경찰서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로 정경호·박성웅·고아성 등이 출연했다. 이는 1988년 당시 모습을 재현한 경찰서 외관과 복도·주차장, 범인과의 추격 장면 등을 옛 충남도청사에서 촬영했다.
권상우·최강희 주연의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추리의 여왕’ 시즌 1·2도 이곳에서 촬영했다. 하완승 형사(권상우)가 근무하는 서동경찰서의 배경이 옛 충남도청사다.
옛 충남도청사는 단순히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해온 의미 외에도 많은 역사를 갖고 있다.
![충남도청사의 역사[사진=충남도청 홈페이지켑처]](/news/photo/201810/7045_9808_3546.jpg)
일제강점기(1932년) 건축한 옛 충남도청사는 2012년 말 충남도청이 내포신도시(홍성·예산)로 이전하기 전까지 사용됐다.
현재는 대전시 산하 기관과 근현대사 전시관 등이 입주해 있다. 건물 2층에는 옛 충남도지사 집무실이 그대로 보존 중이다.
옛 충남도청사는 1932년 일제의 식민정책으로 충남 공주에서 대전으로 도청을 이전하면서 2층 벽돌 건물로 지어졌다.
1950년 한국전쟁 때는 정부임시청사로 쓰이기도 했다. 이어 1960년 3층으로 증축한 뒤 여러 차례 개보수가 이뤄지긴 했지만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는 20세기 초 건축물이다
일제강점기인 1932년 건축된 옛 충남도청사. 옛 충남도청사를 말하려면 충청의 중심인 대전을 빼놓을 수 없다. 대전은 일제 때 지금의 대전역을 중심으로 일본인들이 대거 거주하면서 조성된 근대도시다. 대전역 주변이 일본 번화가 였다면 이후로 커진 거주지의 이름이 대흥(大興)동, 신흥(新興)동이 지금도 그대로이다.
![구 한말의 충남도청소재지인 공주 청사[사진=충청남도사 켑처]](/news/photo/201810/7045_9809_3820.jpg)
일제 식민 수탈 도구로 건설이 시작되어 1905년 개통한 경부선 철도와 1914년에 개통한 호남선을 동력으로 하여 1932년 충남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해 왔다.
공주에 있던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데는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면 쉽다. 1910년 8월 29일 을사늑약이 체결, 조선은 주권을 상실하고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1910년 8월 29일 을사늑약이 체결, 조선은 주권을 상실하고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강제병합이 이루어지자 대전에서도 이에 저항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일본 헌병대와 경찰의 탄압에 저항하여 인근 지역에서 뜻있는 선비들과 관리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벌어졌다.
![1950년대 대전역 맞은편 지역의 번화가 전경, 인도와 차도 구분 없는 신작로에 차량은 거의 다니지 않고 행인들만 분주히 오가는 모습이 이채롭다.[사진= 충남도 제공]](/news/photo/201810/7045_9810_4624.jpg)
항거하다가 순국한 송병선의 동생 송병순은 대전의 송 씨 가문과 함께 일본의 침략에 항거하였다. 그는 나라의 주권이 일본에게 빼앗긴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강제 병합 후 일본이 한일강제병합에 대한 공을 세운 자들에게 내리는 돈(은사금)을 강제로 받을 것을 요구하자 이를 완강히 거절하고 받지 않았다. 그리고 1912년 정월에 끝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순절하였다.
한편 송용재와 송창재 등은 산내 지역에서 강제병합에 항거하였다. 송용재는 일본에 의해 강제로 빼앗긴 나라의 상황에 울분을 토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기를 시도하다가 가족들의 구출로 겨우 살아나기는 하였으나 일본에 대해 저항할 것을 잊지 않았다. 그리고 송창재는 나라를 위하는 마음이 두터워 강제로 일본에 국권을 빼앗긴 이후 바깥에 나서는 일이 거의 없이 평생을 마쳤다.
일본은 이와 같은 민족항쟁을 막기 위하여 총과 칼을 가진 군대와 경찰을 더욱 강화하였으며 1910년 가을에는 대전을 중심으로 충남과 전북 일대를 관리하였다. 또한 일본에 대한 저항 운동을 엄격히 감시하여 한국인의 의병 운동이 다시 일어나는 것을 막고 한국인의 민족성을 없애려 하였다.
1910년 한일강제병합이 이루어진 후 조선을 관리하던 일본인 총독은 무단통치라 불리는 강력한 탄압 통치를 실시하였다. 이는 한국인의 사상, 산업, 경제, 문화 등을 식민지화시키기 위하여 총과 칼로 우리 민족을 통치한 정책이다.
![1960년대 충남 도청[사진=충청남도청 제공]](/news/photo/201810/7045_9811_5012.jpg)
일제는 한국을 빠르게 식민지화하는데 편리하도록 행정 기관을 정비하고, 행정 책임자를 한국인에서 일본인으로 바꾸었다. 또한, 군사력을 강화하고 무력으로 압박하면서 대전을 일본인이 지배할 수 있는 도시로 만들어갔다.
1910년 11월에는 일본인들이 대전을 통치하기 쉽도록 회덕군청을 지금의 원동으로 옮겼으며, 1914년 3월에는 대전 주변 지역이었던 회덕, 진잠, 공주군 일부를 합쳐 새로운 행정구역인 대전군을 만든 후 군청을 대전에 두었다. 그리고 면장과 군수를 모두 일본인으로 임명하여 모든 행정업무를 일본인이 담당하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과예리와 대사리 일원의 넓은 땅에 일본군을 주둔시킨 후 각종 군부대를 만들었다. 이때 만들어진 군사 기지는 한반도를 발판으로 삼아 중국 대륙을 침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일제는 합병을 전후한 시기에 X자형의 종관 철도망을 연결한 뒤 '시정상(施政上)'의 편의를 앞세워 도청소재지를 철도역 인근으로 옮기기 시작했다.
그 결과 경기도청은 1910년 수원에서 경성으로, 함북도청은 1920년 경성에서 나남으로, 평북도청역시 1920년 의주에서 신의주로, 경남도청은 1925년 진주에서 부산으로 이전했다.
그러나 이전을 둘러싸고 조선총독부와 주민 간에 충돌이 빈번했다.
![1970년대, 1980년대 옛 충남도청사[사진=충남도청 제공]](/news/photo/201810/7045_9812_5420.jpg)
그렇잖아도 강제병합이 이루어진데 저항이 심상치 않은 상황에서 도청소재지룰 옮긴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세상은 뒤숭숭했다.
대전에서도 이에 저항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여기에다 대전과 공주지역민 사이에서 이전 반대 및 도청 유치를 둘러싼 기류가 항일운동으로 퍼져갔다.
이런 가운데 가장 강한 도청이전을 반대한 곳이 진주지역이었다.
진주 주민의 도청 이전 반대운동은 이전반대시민위원회 개최와 진정위원선출, 도청 및 총독부에 진정, 공직자전원사퇴, 시장철시 및 세금불납운동전개, 결사대 조직 및 적기(赤旗)시위, 도청습격, 동경으로 진정단파견, 도청영결식을 추진했다.
그러나 일제는 끄떡하지 않았다. 결국 경남도청은 부산으로 이전하며 주민들이 물러났다.
충남도청의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도 거의 유사했다.
![1960년 대 충남도청 건물들[ 사진=충남도 제공]](/news/photo/201810/7045_9813_5623.jpg)
공주에서 1930년 11월 처음으로 반대운동이 시작, 천안.조치원,논산 등으로 반대운동이 번졌다. 반면 대전에서는 도청유치운동의 불을 지폈다.
1919년 3.1 만세운동 등 항일운동에 혼쭐이 난 일제는 이를 기화로 지역간 갈등을 관심사를 돌렸다. 공주지역에서는 반대운동을 단계적으로 추진했다.
태동기는 (1924년 12월-1930년11월), 고조기(1930년 11월-1931년 3월), 보상물요구운동기(1931년 3월-1932년 10월)로 진행됐다.
이에 반해 대전은 을사늑약 이전부터 도청유치운동을 벌이다가, 표면화된 것은 산리(山梨)총독 독직사건 때문이다.
사건내용은 대전의 토목업자인 수수목관차랑(須須木權次郞)이 평소 총독부 출입이 잦은 경성부협의원 대촌백장(大村白藏)을 중간에 넣어 도청유치 로비활동을 벌인 사건이다.
여기에 로비명목으로 4만5000원(소한마리값이 100원)을 제공했으나, 중간에 착복한 내용 등이 드러나 세간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이 같은 일이 있었으나 총독부는 도청소재지 이전작업을 은밀히 추진했다.
사정이 이러하자 공주에서는 도청이전 반대운동이, 천안과 조치원에서는 진정과 로비활동으로 지역 간 유치전이 대단했다.
당시 시·군이 내건 명분은 대전은 교통이 편리한 신흥도시라는 점을, 조치원은 충남북의 중심이라는 점을, 천안은 충남 서북부 9개 군(장항선 통과군)접근이 용이하다는 점을 내세웠다.
그 중에도 대전 유지들은 도청유치기성회를 조직해, 도청부지 1만평 국가에 기부, 이주 관공리의 주택알선, 도청이전에 따른 물가급등방지를 들고 나왔다.
대전기성회원들은 꾸준히 상경 온갖 로비를 벌였다.
그 결과 1931년 1월13일 총독부 내무국장 명의로 충남도청의 대전 이전을 확정, 발표했다.
여전히 공주 등의 반발이 심하자 공주 유지들을 대전에 불러 회유와 압박을 가했다.
같은 해 1월21일 충남도경찰부장과 내무부장은 일선 시·군에 공문을 보내, 대소고소(大所高所)에서 결정한 일이니 경거망동하지 말라는 경고까지 하고 나섰다.
그러나 대전은 그렇지 않았다.
![충남도청에서 바라본 1970년대 대전 중앙로[사진=충남도청 제공]](/news/photo/201810/7045_9814_5812.jpg)
당시 동아일보는 ‘희열의 대전, 시민은 작약(雀躍), 추운 겨울에도 봄눈이 오듯, 대전시민은 누구나 할 것 없이 영광에 넘치는 희색이 만연하다’고 보도했다.
1931년 4월 도청이전기성회를 해체하고 대신 도청이전촉진회를 구성했다.
새 도청부지를 측량하기 위해 총독부 측량기사가 대전에 내려온 것은 그해 4월23일이었다.
도청이전부지에 대한 대가를 요구하던 부동산 업자 김갑순이 도청간부와 대전군수의 권유로 1만여 평을 무상으로 내놓겠다고 5월 발표한다.
주목되는 것은 1931년 6월 9일에 있었던 청사건축공사에 대한 입찰이었다.
당시 낙찰의 행운을 얻은 회사는 수수목조(須須木組)로 수수목은 이미 산리 총독독직사건때 뇌물을 제공했던 인물이다.
그때 공사비 예정가액의 반도 안되는 167,400원을 써넣어 낙찰되었다.
1931년 6월30일 뙤약볕아래에서 기공한 충남도청사는 지상2층 지하1층에 연건평 1,451평, 그리고 낙성식은 그해 12월12일이었다.
이어 완공은 1932년 9월 무렵이었다. 신청사가 지어지자 1932년 9월24일부터 이사를 시작해 10월1일 개청했다. 이삿짐은 경찰의 삼엄한 경비속에 이뤄졌다.
충남도청 이전 축하식은 그해 10월 14일 우원(宇垣)총독과 500여명의 내빈, 그리고 대전역에서 새 도청청사까지 7000여명의 학생과 시민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1000여 명의 축하연회와 야간에는 집집마다 수만 개의 축하 등불을 내걸고 5000여 명의 가장행렬, 촌극, 농악, 제등행렬로 성황을 이뤘다.
10월 13일-15일까지 대전 시민구락부가 주최하는 전도 명창대회, 10월 23일에는 시민대운동회가 열렸다.
반면 도청소재지를 빼앗긴 공주는 9월17일 쓸쓸한 석별연을 열었을 뿐이다.
도청이전 때 도정 자문기구인 충남도 평의회가 있었으나 들러리였다.
일본 중의원에서 예산이 삭감되자 총독부측(도지사측)은 부랴부랴 충남도평의회를 결성해 충남도민 대다수가 도청이전의 필요성이 인정하고 있다고 건의했다.
도청소재지가 대전으로 결정된데 공주, 천안 등에서 반발여론이 가시지 않자 이를 무마시키기 위한 작업이었다.
충남도청의 대전 시대가 열리며 조성된 옛 충남도지사 공관(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9호)과 관사촌(대전광역시 등록문화재 101호)은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와 40년대에 조성된 건물들이다.
![1950년대 대전시내 항공사진, 대전공설운동장과 야구장이 보인다.[사진=충남도청제공]](/news/photo/201810/7045_9816_253.jpg)
대전에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군(群)을 이룬 두 개의 근대 관사촌이 있다. 그 중 하나가 대전시 중구 대흥동 테미공원 자락의 ’관사촌‘이고, 다른 하나가 대전시 동구 소제동 ‘철도 관사촌‘이다.
관사촌은 도지사와 부지사, 실·국장급 관료들이 사용한 10개동의 건물들로 그 역사를 들여다보면 많은 이야기가 숨겨져 있다.
도지사 공관은 역대 충남도지사들이 사용했던 관사로 마지막은 안희정 전 지사가 사용했다.
![현재 옛 충남도청 청사 도지사실로 올라가는 계단. 영화 변호인에 나오는 장면[사진=Senssup글 켑처]](/news/photo/201810/7045_9817_440.jpg)
![현재 옛 충남도청 청사내 전시실[사진=Senssup글 켑처]](/news/photo/201810/7045_9818_544.png)
![현재 옛 충남도청 청사내 전시실내 기록관[사진=Senssup글 켑처]](/news/photo/201810/7045_9819_620.jpg)
6.25 전쟁 때에는 피난길의 이승만 대통령의 관저로 사용하였다. 그때 UN군 참전을 공식적으로 요청한 장소이었고 주한미군에게 우리나라의 작전권이 넘어간 SOFA 조약이 맺어진 우리 근대의 역사적 장소였다.
일제 강점기의 대전은 경부선과 호남선이 교차하는 교통의 중심지이자 전국의 농산물이 모이는 물류의 중심지였다. 이에 따라 해마다 인구가 증가하여 1931년에는 총호수 4,974호에 총인구 23,374명에 달하는 대도시가 되었다.
이러한 성장에 힘입어 1932년 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옮겨지면서 도청 관련 시설들이 들어서고, 대전은 제2의 도약기를 맞게 된다. 철도 중심도시에서 지방 행정 중심 도시가 되었으며, 급속한 공간적 확대를 이루는 계기가 되었다. 대전역에서 도청까지의 도로가 직선도로로 확장되었고 이에 따라 대전의 선화동, 용두동, 대흥동 지역이 발전하였다.
※참고: 충청남도지. 대전시사. 충청남도. 중앙일보. 신수용의 사건반세기등
한편 공주지역의 주민 반발을 잠재우기 위해 공주 금강대교(철교)를 놓아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