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아산시, 추억의 개똥벌레 ‘반딧불이’ 복원 추진
아산시, 추억의 개똥벌레 ‘반딧불이’ 복원 추진
  • [충청헤럴드=안성원 기자]
  • 승인 2018.10.05 0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민·민간단체 주도 궁평저수지길 반딧불이 서식지 보전 및 보호활동 전개

충남 아산시가 송악 궁평저수지길 일대를 중심으로 주민, 행정기관, 민간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반딧불이 서식지 보전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5일 시에 따르면 반딧불이는 사람에게 어릴 적 동심과 그리움을 느끼게 하는 정서곤충으로  환경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이용되는 환경지표곤충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각 지역마다 반딧불이를 반디, 반딧불, 개똥벌레 등으로 부르고 있으며 또한, 개똥벌레라는 이름의 유래는 옛날에는 반딧불이가 개똥처럼 흔하다고 해서 붙여졌다고 한다.

반딧불이의 특성상 습한 곳을 좋아해서 따뜻한 개똥이나 소똥이 식으면서 똥의 밑에 습한공간이 형성돼 낮 동안 숨어 있다가 밤에 나오는 모습을 보고 개똥벌레에서 나왔다고 해 개똥벌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말이 있다.

반딧불이 서식을 위해 보전한 논습지 모습. [아산시 제공]

아산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궁평리 마을주민과 협의해 애반딧불이가 다량 발생하는 곳을 지난 5월 22일부터 10월초까지 저녁 8시부터 오전 6시까지 차량출입을 통제하고 서식지 보호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마을환경개선 및 경관보전,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 자연정화생태습지 조성, 행복마을만들기 선행사업을 적극 추진해 반딧불이 보호 및 생태환경 개선에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 송악 궁평저수지 일대에서 야생생물관리협회 회원 및 모니터 요원, 천안상업고등학교 아산동문회, 대한특전사동지회, 아산시 자연보호협의회, 자원봉사 학생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해 저수지 수질개선과 반딧불이 서식지 보호를 위한 울타리 정비 및 쓰레기 수거 등 환경정화활동을 대대적으로 실시하며 주민들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반딧불이 보전을 위해 서식지에 차량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아산시 제공]

지난 8월 30일에는 송악지역 반딧불이 보호 등 자연생태계 보전 지속추진을 위해 맹산 반딧불이 자연생태학교와 서울길동 생태공원을 방문 생태습지, 반딧불이 인공 증식장, 생태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벤치마킹을 실시했다.

오세현 아산시장은 “앞으로 자연생태계 보전과 지속가능한 녹색도시 조성을 위해 반딧불이 서식지 마을 중심으로 행복마을만들기 사업과 연계해 주민 참여를 통한 자연생태습지(논습지) 조성, 반딧불이 등 소생물 생태계 복원사업, 저탄소녹색마을 조성 확대, 자연생태 관찰 체험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자연생태계 보전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