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부터 대전지역 어린이집 원아부터 고등학생까지 무상급식 지원이 확대되고, 중·고교 입학생들은 교복을 무상으로 지원 받는다.
허태정 대전시장과 설동호 대전시교육감은 8일 "우리 아이들이 행복하고 즐겁게 학교에 다니고 부모들이 아이 키우기 좋은 여건을 조성키 위해 뜻을 모았다"며 무상급식 확대지원과 무상교복 지원 관련 합의 내용을 발표했다.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장기화 우려가 이어지던 양 기관의 교육 지원비 분담률 조율이 마침내 이뤄진 것.
이로써 대전지역의 17만 1600여 명의 학생들이 내년부터 무상급식 혜택을 받게 됐다.
이날 대전시와 시교육청은 약 10%(초등학교 300원, 중학교 400원)의 인상분이 반영된 내년도 무상급식비 약 1160억 원 중 교육청이 580억 원, 시 및 각 자치구가 580억 원을 각각 부담키로 합의했다.
유치원 무상급식은 시교육청에서, 어린이집 차액보육료와 무상급식은 시에서 전액 지원키로 했다.
이에 대해 허태정 시장은 "관할 중앙부처가 다른 점 등을 감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교육청은 만 3~5세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무상급식을 전면 시행한다.
설동호 교육감은 "급식 시간이야말로 아이들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가장 좋은 시간"이라며 "무상급식이야말로 가장 교육적인 차원에서 접근하는 지원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전시는 내년부터 전국 최초로 어린이집 무상급식을 실시할 것을 선언하기도 했다.
어린이집 3∼5세 부모부담 보육료와 낮은 급식단가로 무상보육과 급식비 현실화가 필요한 상황인 점을 고려해서다.
중·고등학생 무상교복 부문에서는 시내 소재 중·고등학교에 입학하는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동복과 하복 한 벌씩 지원하며, 교육청과 시가 각각 50%를 분담키로 했다.
허태정 시장과 설동호 교육감은 이날 "학생과 학부모가 행복한 교육복지 실현을 위해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합의에 따라 두 기관은 조례를 재정, 교복지원을 현물, 현금으로 지원할지 방식 등을 결정해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