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관 의원 "중앙정부에 큰 틀 맡기고, 시는 한 우물 파야"

대전시에 대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시의 4차산업혁명특별시 정책 재설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학교육 변화의 필요성 등이 집중 제기됐다.
김병관 민주당(경기 성남시분당구갑)의원은 22일 "4차사업혁명특별시 공약에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대전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김병과 의원은 이같이 말하며 "대전시가 연구단지를 통해 우수한 인재가 많이 배출돼서 (타지역에 비해) 보다 많은 사업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 할 수는 없다"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 "국가사업이기도 한 대전의 4차산업혁명특별시 조성사업의 큰 틀은 국가에 맡기고, (시는) 한 두 가지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AI, VR, 블록체인, IoT 등 단어를 포함한 16개의 4차산업혁명특별시 사업 과제가 4차산업혁명이 가진 키워드를 '총망라'하고 있지만, 사실상 이도 저도 아닌 공약이라는 게 김 의원의 설명.
청년 일자리 부족, 세종시 인구 편입 등으로 시가 직면한 경제적·인구적 위기감이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에서 4차산업혁명특별시로 명운을 건 시가 사업방향을 두고 과감한 결단을 내려야한다는 목소리로도 해석된다.
또 이날 대전의 지역인재 의무채용에 대한 실태를 드러내며 지역기관과 대학의 맞춤형 교육 필요성이 거론되기도 했다.
김 의원은 "대전의 19개 대학이 공공기관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학생들이 취업할 수 있도록 하는게 중요하다"며 "시는 적극 지역인재 채용에 노력하며 대전이 직면한 경제적·인구적 위기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대전시 공공기관 지역인재 의무채용 인원은 2772명. 이 중 실제 채용된 사람은 245명으로, 채 10%가 안 된다는 것.
지역인재 채용이 제도적으로 의무화 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전시의 경우 각 대학들과 공공기관에 맞는 교육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분석으로 풀이된다.
김 의원은 “지역인재 역차별 문제는 법 개정과 관계없이 공공기관이 의무적으로 지역인재를 채용해야 한다”면서 “정치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이에 허 시장은 “현장 전문가와 함께 청년 일자리 창출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겠다”며 “4차산업혁명특별도시 추진위원회에서 역량을 집중해 기업과 대학을 연계하는 맞춤형 프로그램도 운영할 것”이라고 답했다.
허태정 시장은 이날 질의에 앞서 현안보고를 통해 “혁신도시법 개정으로 2022년까지 지역인재를 30% 이상 채용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며 “대전은 혁신도시에서 제외돼 대전지역 대학생들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호소했다.
이 밖에도 ▲대전시 침수피해 ▲대전시 공무원 솜방망이 징계 ▲선거 공약 재원 마련 ▲버스 광고비 의혹 ▲원자력 폐기물 방치 ▲대전시 농어촌 특례 부재 등을 두고 질타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한편, 게임업체 웹젠의 대표이사를 지낸 김병관 의원은 카이스트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한 바 있다. 2년간 대덕연구단지에 머무르며 과학기술인들과 소통해오는 등 인연이 있는 만큼, 연구단지의 발전에 대한 관심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