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은 원자력시설이 밀집하고, 방사성폐기물도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데 안전대책이 미흡하다"
"대전시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는데, 시민의 안전을 책임진 대전시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기다려서야 되겠느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소속 바른미래당 주승용(전남 여수을)의원이 국정감사에서 허태정 대전시장에 대한 22일 오후 기자들에게 배포한 질의 자료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전시의 안전 대책은 미흡한 것 같다"면서 이같이 촉구 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전시에 대한 국감에서 "대전은 원자력시설이 밀집하고,방사성폐기물도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데 안전대책을 미흡하다"는 질타가 이어졌다.[사진= 대전MBC뉴스켑처]](/news/photo/201810/7386_10252_245.jpg)
주 의원은 "대전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수원중앙연구원'등 원자력 관련 기관이 4곳이나 된다"고 운을 뗐다.
이어 "그 중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원자력 종합연구개발 기관으로 학술연구, 에너지 확보, 원자력 이용 연구를 맡고 있으며, 다량의 방사성폐기물을 보관 중"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원자력연구원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2030년까지 경주에 있는 '방사성폐기물장'으로 모두 이송하기로 하였으나 계획이 중단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경우에는 더 이상 이송계획에 대한 진전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앞으로 12년 남았는데, 그 때까지 아무런 대책도 없이 계속 보관해야 되느냐"고 질타했다.
그는 또 원자력 시설의 내진 설계의 부실도 꼬집었다.
![지난 22일 국회 행정안전위의 대전시국감에서 허태정 대전시장이 행정부시장과 답변을 상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10/7386_10253_263.jpg)
그는 "원자력연구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폐기물 저장시설 내진설계 현황'에 따르면, 저장고 5곳 중 3곳은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우리나라가 더 이상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은 국민이 다 아는 상황"이라고 따졌다.
주 의원은 "대전시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는데, 시민의 안전을 책임진 대전시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기다려서야 되겠느냐"고 추궁했다.
그는 허 시장에게 "어떻게든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라. 정부와 얘기해서라도 대전시민의 안전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더불어민주당 강창일(제주 제주시갑)의원도 같은 문제를 지적했다.
![바른미래당 주승용(왼쪽), 권은희 의원이 지난 3월 30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제358회 국회(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 참석해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10/7386_10254_3043.jpg)
강 의원은 "원자력연구시설이 집중되어 있는 대전에는 연구용 원자로도 있고, 현재 중저준위 핵폐기물 3만 드럼과 고준위 폐기물도 다수가 보관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에 대한 안전은 국가와 지방정부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 시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적극 대처해 달라"고 촉구했다.
허 시장의 답변은 "그렇게 하겠다"면서 "(원자력 기관들을)감독하는 문제에 있어서 지방정부가 전혀 참여하거나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게 근본적인 문제다. 그래서 앞으로 관련 원자력 안전법을 개정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