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하수를 식품용수로 사용하는 집단급식소, 식품접객업소 등 위생취약시설 6개 업체를 대상으로 노로바이러스 오염조사를 실시한다고 23일 밝혔다.
국내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주로 11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발생하며,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환자를 통한 직·간접 접촉을 통해서도 쉽게 전파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 후 평균 12-48시간 내에 오심, 설사, 구토 등을 일으키게 되며 1-3일 후 호전되나 고령자나 어린이, 면역저하자 등은 심각한 탈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증상 소실 후 2-4주간 대변으로 바이러스를 계속 배출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11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주로 발생하며,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환자를 통한 직·간접 접촉을 통해서도 쉽게 전파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 후 평균 12∼48시간 내에 오심, 설사, 구토 등을 일으키게 되며 1~3일 후 호전되나, 고령자나 어린이, 면역저하자 등은 심각한 탈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증상 소실 후 2~4주간 대변으로 바이러스를 계속 배출하게 된다.
이재면 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바이러스 검출 즉시 해당시설과 식약처에 결과를 통보, 청소·소독 등 조치 후 재검사를 실시하는 등 행정조치가 뒤따를 예정"이라며 "지하수를 사용할 경우 정기적인 수질검사와 관정관리가 필요하며, 염소자동주입기 등 소독장치를 설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보건환경연구원은 겨울철 시민들이 많이 소비하는 굴 및 어패류의 안전관리를 위해 노로바이러스 및 대장균 모니터링도 실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