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언어폭력, 가혹 행위 장교 간에도 심각한 수준" 국민권익위에 민원...
"언어폭력, 가혹 행위 장교 간에도 심각한 수준" 국민권익위에 민원...
  • [충청헤럴드=송준호 기자]
  • 승인 2017.11.28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 권익위, "공황장애와 우울증 모두 공상 처리"

같은 부대 직속 상관의 폭언, 인격 모독으로 공황장애와 우울증이 생겼다면 이를 공상(公傷)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결정이 나왔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8일 이같이 판단하고 육군참모총장에게 K(30)씨에 대한 전공상 심의를 다시 할 것을 시정권고했다고 밝혔다.

2010년 임관해 현역 대위였던 K 씨는 "지난해 7월 새로운 부대로 자리를 옮긴 뒤 부대장이 사사건건 트집을 잡고 업무 중 여러 차례 폭언과 욕설, 인격 모독성 발언을 하는 바람에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다"고 밝혔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달 2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박은정 위원장을 비롯한 간부, 직원, 학계·시민단체·법조계 등 자문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2017년 제3기 국민권익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사진=국민권익위 홈페이지 켑처)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달 2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박은정 위원장을 비롯한 간부, 직원, 학계·시민 단체·법조계 등 자문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2017년 제3기 국민권익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사진=국민권익위 홈페이지 캡처]

이어 "지난해 11월 부대장이 화를 내며 폭언을 하자 심한 공황장애 발작 후 쓰러져 군 병원으로 후송돼 2개월의 입원 치료와 중증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공상을 인정해 달라는 K 씨의 신청에 대해 부대 내 전공상심사위원회는 "K 씨가 학창 시절 집단 따돌림 경험 등 입대 전에도 문제가 있었다"며 K 씨의 발병이 공무와 직접 관계가 없다고 보고 비공상 결정을 하자, K 씨는 지난 2월 권익위에 고충 민원을 제기하고, 10월에 전역했다.

​권익위는 "K 씨는 친한 동료 장교의 잇따른 죽음으로 잠시 우울 증세를 보인 적은 있으나 모범적이고 정상적인 중대장 생활을 했다. K 씨는 새 부대로 전입 후 부대장의 강압적인 분위기와 폭언 등으로 신경 안정제를 지니고 다닐 정도로 심리적으로 불안정했다"며 "해당 부대장이 K 씨에 대한 폭언 등으로 감봉의 징계를 받았던 사실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작년 8월 부대장이 "중대장은 중대 순찰을 안 하는 거냐, 탄약 중대장이 시설 관리를 이따위로 하는 거냐"고 했고, 같은해 10월에는 "너는 장교가 깁스하고 목발을 하고 있느냐. 당장 떼라"는 말을 욕설과 섞어 한 사실도 확인했다.

이어 "K 씨의 대학 재학 시절이나 입대 전 또는 임관 전후에 정신적인 문제로 치료를 받은 적이 없음에도 중고교 시절의 따돌림 경험 등을 근거로 비공상 결정을 한 것은 부당하다"며 시정권고했다.

권익위 관계자는 "그동안 군대 내 언어폭력이나 가혹 행위 등은 주로 사병들 간에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됐으나 이번 사례를 통해 장교 간에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전공상심사와 관련해 잘못 판단된 부분이 있다면 재심사를 통해 바로 잡힐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