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들어 공기업의 낙하산 인사가 심각하다.
그중에도 국토교통부 산하 코레일(한국 철도공사)과 5개 자회사에 임명된 임원의 35%가 낙하산 인사로 나타나 심각성을 드러냈다.
![대전시 동구 한국철도공사와 철도시설공단[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10/7418_10287_5846.jpg)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소속 바른미래당 이학재 의원은 24일 대전 철도 공동사옥에서 열린 코레일 국정감사에서 바른미래당이 지난 9월 발표한 '공공기관 친문백서: 문재인 정부 낙하산·캠코더 인사현황' 자료를 근거로 "코레일과 5개 자회사에 임명된 임원의 낙하산 비율은 국토교통부 산하기관 평균 28%, 전체 공공기관 평균 22%보다 훨씬 높다"고 주장했다.
백서에 의하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년 4개월 동안 코레일과 5개 자회사에 37명의 임원이 임명됐다.
이 의원은 "이가운데 중 13명이 문재인 대선 캠프, 시민단체 활동 등 코드 인사, 더불어민주당 출신인 이른바 '캠코더' 인사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캠코더 인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코레일네트웍스로 무려 67%에 달했다. 이어 코레일로지스 50%, 코레일 33%, 코레일유통 33%, 코레일테크와 코레일관광개발 각각 17% 순이었다.
코레일 자회사 중 캠코더 인사 비율이 가장 높은 코레일네트웍스는 사장과 상임이사, 비상임이사 등 현 정부 출범 후 임명된 6명의 임원진 중 4명이 정치권(여권) 출신이다.
이 의원은 "코레일네트웍스의 경우 역사 시설 관리와 발권 업무를 담당하는 자회사로, 바른미래당 백서에서 캠코더 인사로 분류된 임원진 중 코레일네트웍스 사업과 관련된 경력을 가진 인사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코레일과 코레일 자회사 내 낙하산·캠코더 인사의 비중이 국토부 산하 다른 기관뿐만 아니라 전체 공공기관보다 높다"며 "낙하산 논란이 일고 있는 임원들의 주요경력을 보면 철도 업무와는 관련이 없고, 대선 캠프나 시민단체, 여당 경력이 대부분"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