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국감체크] "코레일· 5개 자회사의 임원 35%가 현정부 낙하산"
[국감체크] "코레일· 5개 자회사의 임원 35%가 현정부 낙하산"
  • [충청헤럴드=박민기 기자]
  • 승인 2018.10.24 13: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정부들어 공기업의 낙하산 인사가 심각하다.

그중에도 국토교통부 산하 코레일(한국 철도공사)과 5개 자회사에 임명된 임원의 35%가 낙하산 인사로 나타나 심각성을 드러냈다. 

대전시 동구 한국철도공사와 철도시설공단[사진=연합뉴스]
대전시 동구 한국철도공사와 철도시설공단[사진=연합뉴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소속 바른미래당 이학재 의원은 24일 대전 철도 공동사옥에서 열린 코레일 국정감사에서 바른미래당이 지난 9월 발표한 '공공기관 친문백서: 문재인 정부 낙하산·캠코더 인사현황' 자료를 근거로 "코레일과 5개 자회사에 임명된 임원의 낙하산 비율은 국토교통부 산하기관 평균 28%, 전체 공공기관 평균 22%보다 훨씬 높다"고 주장했다.

백서에 의하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년 4개월 동안 코레일과 5개 자회사에 37명의 임원이 임명됐다.

이 의원은 "이가운데 중 13명이 문재인 대선 캠프, 시민단체 활동 등 코드 인사, 더불어민주당 출신인 이른바 '캠코더' 인사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캠코더 인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코레일네트웍스로 무려 67%에 달했다. 이어 코레일로지스 50%, 코레일 33%, 코레일유통 33%, 코레일테크와 코레일관광개발 각각 17% 순이었다.

코레일 자회사 중 캠코더 인사 비율이 가장 높은 코레일네트웍스는 사장과 상임이사, 비상임이사 등 현 정부 출범 후 임명된 6명의 임원진 중 4명이 정치권(여권) 출신이다.

이 의원은 "코레일네트웍스의 경우 역사 시설 관리와 발권 업무를 담당하는 자회사로, 바른미래당 백서에서 캠코더 인사로 분류된 임원진 중 코레일네트웍스 사업과 관련된 경력을 가진 인사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코레일과 코레일 자회사 내 낙하산·캠코더 인사의 비중이 국토부 산하 다른 기관뿐만 아니라 전체 공공기관보다 높다"며 "낙하산 논란이 일고 있는 임원들의 주요경력을 보면 철도 업무와는 관련이 없고, 대선 캠프나 시민단체, 여당 경력이 대부분"이라고 꼬집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