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국감체크] 이정미 "라돈 생리대 충격… 모든 성분 공개하라"
[국감체크] 이정미 "라돈 생리대 충격… 모든 성분 공개하라"
  • [충청헤럴드=박상민 기자]
  • 승인 2018.10.25 15: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지난주 한 일회용 생리대에서 라돈이 검출[충청헤럴드 10월17일자보도] 됨과 관련, 식약처에 생리대 원료 물질 공개 의무화 등을 촉구했다.

이정미 대표와 여성환경연대, 환경운동 연합 등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끊이지 않는 생리대 논란, 안전대책 강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며 이같이 요구했다.

이 대표 등은 “식약처는 생리대의 위해성 평가 없이 단순 규격준수 여부만 확인할 뿐”이라면서 “생리용품에 사용되는 모든 원료 물질을 공개하라”고 주장했다.

또 “지난주 한 일회용 생리대에서 방사성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시민들에게 큰 충격을 줬다”면서 “라돈은 흡입독성이 있어 폐암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피부흡수를 통한 위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23일 오전 정의당 대전시당에서 한국GM 비정규직 해고자 비상대책위원회 소속 노동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충청헤럴드db]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3월 23일 오전 정의당 대전시당에서 한국GM 비정규직 해고자 비상대책위원회 소속 노동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충청헤럴드DB]

그러면서 “작년 생리대 파동 이후 식약처가 마련한 유일한 대책은 전성분표시제를 실시하겠다는 것이었고 오늘이 생리대 전성분표시제가 시행되는 날”이라며 “그러나 전성분표시제 또한 부실하다. 모든 성분이 아니라 생리대 품목허가증에 기재하는 원료명만 표시하도록 의무화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 대표등은 “생리대 전성분표시제는 부직포, 폴리에틸렌필름, 접착제 등 품목허가증에 기재된 원료명만 표시하도록 하고 수백 가지 화학물질로 구성된 향은 단순 향료로 기재할 수 있게 규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때문에 “향료에 들어간 개별 성분을 알 수 있도록 모든 원료 물질 공개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즉, 생리대 전성분표시제를 시행해도 화학물질인 향 원료 물질을 공개하지 않으면 반쪽짜리 제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환경부가 제출한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예비 결과에 따르면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면 생리통과 가려움증이 증가하는 등 부작용 증상이 나타났다”며 “본조사를 조속히 실시하고 생리대 안전성 대책을 강화하라”고 말했다.

라돈(RN)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릴 만큼 1급 발암물질이다. 15년전부터 서울 지하철에서 라돈이 검출 되면서 심각성이 제기됐다. 이후, 지난 5월 대진침대에서 라돈물질이 다량 검출되면서 일반인들에게도 이슈화됐다.
그런데도 원자력 안전위원원회는 그제서야 검사에 착수했고, 12일 후 수거명령을 내렸다.
이번에 문제가 된 '특허 패치' 생리대는 대진침대의 라돈 검출량보다 더 많은 양이 검출됐다.
생리대의 경우 기준치의 무려 10배였다. 유기농 제품으로 홍보되고 있는 A제품이라는 생리대였다.
그러나 지난 17일 A제품을 판매해 온 B사는 JTBC 뉴스의 라돈 검출 보도에 대응해 홈페이지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방사선 검출 시험 결과서를 게재하고 "방사능 안전기준 수치인 100Bq/kg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치"라고 반박했다.

B사는 "언론에서 보도하는 당사 생리대에 대한 라돈수치는 '국가인증'이 아니라 단순히 저가의 라돈측정기인 '라돈아이'로 측정해 당사 측에 2시간 전 통보 후 그대로 기사화한 내용"이라며 "당사에서는 해당 내용에 대한 언론중재위원회를 통해 정정보도를 요청할 것이며, 이로 인한 손해배상으로 법적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라돈아이는 검사 환경과 이전에 측정했던 라돈의 잔여물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해, 라돈아이 업체측에서도 정확한 수치는 국가기관의 의뢰하라고 나와있다"고 부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