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독재와 부정에 항거한 4.19혁명의 도화선인 대전 3.8의거가 드디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1960년 3월8일 당시 대전고와 대전여고 등 고교생들과 대전시민이 이승만 독재정권에 맞서 분연히 일어선 3.8민주의거는 그간 당시 참가한 각계인사를 중심으로 기념회를 만들어 매년 기려왔다.
![대전고교 교정에 선 3.8의거탑[사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제공]](/news/photo/201810/7535_10439_2349.jpg)
정부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대전의 3·8민주의거는 3.15 정.부통령선거를 앞두고 자유당 이승만과 이기붕이 출마했고, 민주당은 유석 조병옥박사와 장면박사가 정부통령이 출마하면서 시작됐다.
조박사는 미국에서 지병으로 별세하고 장면부통령만 야당후보로 나섰다.
![경찰에 집단영행되면서도 학원에 자유를 달라. 이승만 물러가라를 외치고 있다[ 사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제공]](/news/photo/201810/7535_10440_2747.jpg)
당일 민주당 장면박사의 유세가 대전공설운동장에서 예정되자, 대전고. 대전상고생과 대전여고생이 유세를 들으러 가는 길을 경찰이 막아서면서 의거는 시작됐다. 경찰은 곤봉으로 무장하고 학생들을 무자비하게 구타했으나, 학생들의 항거는 막지 못했다. 3·15 부정선거를 일주일 앞둔 날이다.
유세장이 막히자 대전의 학생 1천여명이 대전 공설운동장에서 열린 민주당 유세 시간에 맞춰 일제히 거리로 나서 '독재정권 타도'를 외쳤다.
그러나 시위 계획을 알아차린 학교 측이 학생 간부들을 오전부터 감금하면서 시위는 무산되는 듯했다.
하지만 어느 것도 민주화에 대한 이들의 열망을 막지 못했다. 학생들은 거리로 뛰쳐나와 독재 타도와 학원 자유화를 외쳤다.
경찰은 이런 학생들을 무참히 짓밟기 시작했다. 몽둥이를 들고 무자비하게 학생들을 해산시켰지만, 학생들은 끝까지 항거하며 유세장까지 진출했다.
당시 공설운동장 앞을 흐르던 작은 개울을 사이로 학생들과 경찰들 간의 격렬한 싸움이 벌어졌다. 일부는 논바닥으로 밀려 넘어지는가 하면 일부는 대열에서 떨어져 경찰에 연행되기도 했다.
경찰과 학생의 대치는 저녁 무렵 자연스럽게 풀렸다. 다행히 연행된 80여명의 학생도 아무런 조치 없이 풀려났다.
충남대 최우영 전교수를 비롯해 정기창씨등이 주도하여 결국 기념회가 만들어지고 해마다 이날을 기려왔다.
![1960년3월8일 대전공설ㅇ운동장에서 있을 야당 장면박사유세를 막는 경찰이 대전고생을 곤봉으로 구타하며 막는 장면[ 사진=3.8기념사업회 제공]](/news/photo/201810/7535_10441_2911.jpg)
3·8민주의거는 대구 2·28의거, 마산의 3·15의거와 함께 전국학생시위의 도화선이 된 역사적 사건으로, 4·19혁명의 단초가 됐다.
이후 국가기념일 지정을 촉구하는 범시민추진위원회가 구성돼 결의대회를 개최하는 등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범시민추진위에는 3·8 민주의거 기념사업회, 대전충남 4·19혁명 동지회, 대전세종충남 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대전사랑시민협의회,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대전지역회의 등 대전지역 15개 단체가 함께 했다.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설립에 맞춰 당시 국가기념일 지정과 의미를 알린 기사[사진=3.8 민주의거 기념사업회 제공]](/news/photo/201810/7535_10442_3218.jpg)
정부는 3·8민주의거의 역사적 의미와 숭고한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이날 3·8민주의거 기념일을 49번째 국가기념일로 지정했고, 내년부터 정부 행사로 기념식을 거행한다.
대전시도 시민 주도의 국가기념일 지정 촉구 분위기 조성을 위한 범시민운동에 함께했다. 김보성. 염홍철. 박성효.권선택 전시장등이 큰관심을 보였다.
최근에는 허태정 시장이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을 만나 3·8 민주의거 국가기념일 지정을 향한 시민의 열망을 담은 서명부를 전달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국회에서는 3·8 민주의거 국가기념일 지정 촉구 결의안이 통과됐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3·8 민주의거가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것은 민주화 운동의 보편적 가치를 인정하는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대전시민의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는 물론 3·8 민주의거의 역사적 의의가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