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들어 지방과 중앙의 공기업 임원들의 낙하산 인사가 심각한 가운데 충청권 공기관도 예외가 아니었다.
문재인 정부의 낙하산 인사, 이른바 '캠코더'(문재인캠프인사+코드.보은인사+더불어민주당인사)로 불리는 특혜성 인사는 과거정권의 낙하산 인사를 비판해 온 터여서 국민들의 강한 비난도 일고 있다.
7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공기업 35개(시장형 15, 준시장형 20)와 산하 자회사 12개를 포함해 전체 47개 기관의 임원 분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조사한 인원(기관장, 감사, 비상임이사, 비상임감사) 316명 가운데 118명이 관료(75명)와 정계(43명)출신이었다.
업무역량, 전문성과 무관하게 정치적 성향에 따른 낙하산 인사로 임명된 임원이 37%에 달했다.
10명의 임원 인사 중에 4명 가까이가 정부의 낙하산을 타고 '꽂힌' 인사였다.
그중에도 문재인 정부 출범에 기여한 공로로 임명된 이른바 '캠코더인사'는 모두 75명으로 조사한 공기업 임원 가운데 24%나 됐다.
정계와 관료 출신이 아닌 나머지 임원들의 출신은 재계 46명(15%), 공공기관 42명(13%), 학계 36명(11%), 법조계 17명(5%), 세무회계 13명(4%), 언론계 9명(3%), 기타 35명(11%)으로 조사됐다.
직책별로 보면 기관장의 경우 총 42명(5개 기관은 공석) 중 14명은 관료, 3명은 정계 출신으로 각각 33%와 7%를 차지 했으며 9명이 ‘캠코더 인사’로 분류됐다.
-충청권 공기업 중 코레일과 5개 자회사가 낙하산 많아.
CEO 스코어는 "각종 이익 단체와 공직자의 유착, 전관예우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직자윤리법(일명 ‘관피아 방지법’)이 지난 2015년 3월 31일부터 시행되는데도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반복되는 공공기관의 임원 인사는 아직도 남의 나라 얘기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정부들어 지방과 중앙의 공기업 임원들의 낙하산 인사가 심각한 가운데 충청권 공기관도 예외가 아니었다.충청권 공기관 가운데 낙하산 인사가 제일 많은 곳이 코레일(한국철도공사)과 5개 자회사였다. 사진은 코레일 대전 본사사옥(왼쪽)과 한국철도 시설공단[사진=연합뉴스]](/news/photo/201811/7735_10664_2013.jpg)
코레일과 자회사에 임명된 임원 낙하산 비율이 국토부 산하기관 평균 28%, 전체 공공기관 평균 22%보다 훨씬 높다.
코레일은 오영식 사장과 비상임이사 2명 등 3명으로 나타났다. 이들 낙하산·캠코더 논란 인사 대부분이 철도 및 업무 경력이 없다.
오영식 사장의 경우 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문재인 후보 캠프 조직본부 수석부본부장으로 일했다.
또 대전 코레일자회사인 코레일네스웍스 강귀섭사장 역시 정세균 의원 보좌관, 부평구청 비서실장을 지냈다.
'캠코더' 인사 비중은 코레일네트웍스가 67%에 달했고, 코레일로지스(50%), 코레일(33%), 코레일유통(33%), 코레일테크(17%), 코레일관광개발(17%) 순이다. 코레일네트웍스는 역사 시설 관리와 발권 업무 등을 수행하는 회사로 사장을 비롯해 상임이사·비상임이사 등 현 정부 출범 후 임명된 6명의 임원진 중 4명이 정치권(여권) 출신이었다.
이처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년 4개월 동안 코레일과 5개 자회사에 임명된 임원 37명 중 13명이 문재인 캠프, 시민단체 등 코드 인사, 더불어민주당 출신인 이른바 ‘캠코더’ 인사로 파악됐다.
즉, 코레일과 5개 자회사의 임원 10명 중 3명 이상이 ‘낙하산’ 인사였다.
코레일과 5개 자회사에 임명된 임원 낙하산 비율이 국토부 산하기관 평균 28%, 전체 공공기관 평균 22%보다 훨씬 높다.
뿐만아니다. 충청권내 공기관 감사의 경우 낙하산 인사도 많다.
대전소재 한전원자력연료 김명경 감사는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제20대 총선 기획단장 출신이며, 충남대 병원 전득배 감사 역시 더불어민주당에서 일해온 인물이다.
정균영 한국조폐공사 감사는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을 맡았었다.
![[사진= 스코어 데일리 켑처]](/news/photo/201811/7735_10667_2314.jpg)
전국에서 모두 31명 중 관료와 정계출신이 각각 13명(42%), 8명(26%)으로 전체 감사의 68%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절반인 15명이 ‘캠코더’ 출신이다.
-전국에서도 10명중 3명이 켐코더나 낙하산이나.
다른 지역 공기관도 마찬가지다. 김낙순 한국마사회 회장은 문재인 대통령후보 중앙선거대책본부 조직본부 부본부장 출신이다.
문태곤 강원랜드 사장은 참여정부 시절에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을, 이재광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사장은 문재인 대통령 당선을 도운 '광흥창'팀과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강래 한국도로공사 사장은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내고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지지선언을 했다.
유태열 그랜드코리아레저 사장은 참여정부 시절 대통령비서실 치안비서관으로 활동하고 지난 2017년 4월 25일 퇴직, 경찰 553명과 함께 문재인 대통령 후보 지지선언을 했다.
임성규 주택관리공단 사장은 문재인 대통령후보 선거대책위 복지국가위원회 공동위원장을 했다. 남기찬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지난 2017년 대선에서 문재인 캠프의 ‘동북아해양수도 추진위 공동정책단장’으로 활동했다.
이정희 한전 감사위원은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지지모임으로 알려진 ‘포럼광주’를 이끌었다.
문태룡 한전KPS 감사는 참여정부 핵심 인사 조직인 ‘참여정부 평가포럼’의 기획위원장을 지내고 2012년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 시민캠프 상황실장을 역임했다.
이오석 한전KDN 감사는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 상무위원으로 재직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자회사인 주택관리공단에도 '캠코더 감사'가 2명이 있다.
허정도 한국토지주택공사 감사는 19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신문 통신분야 미디어특보였으며, 박재혁 주택관리공단 감사는 문재인 대선후보 경남선거대책위원회 본부장을 역임했다.
그 외에도 한국지역난방공사, 대한석탄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그랜드코리아레저,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각 1명씩의 '캠코더 감사'가 낙하산으로 내려왔다.
김길성 인천국제공항 감사는 정세균 국회의장실 정책기획비서관을 지냈고 과거 김대중 정부 시절 민정수석실 행정관으로 일했다. 이재강 주택도시보증공사 감사는 19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상임선대본부장을 맡았다. 송기정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감사는 19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조직본부 선임팀장으로 활동했다.
임찬규 그랜드코리아레저 감사는 참여정부 당시 대통령비서실 국정상황실 행정관을 지냈다. 이근섭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감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더불어민주당 평가감사국 국장을 했다.
아울러 비상임이사는 총 194명 중 관료가 39명(20%), 정계가 29명(15%)이다. 그 중 '캠코더'로 분류되는 인사는 45명(23%)이다.
비상임감사는 총 49명 중 학계 11명(22%), 관료 9명(18%), 세무회계 9명(18%)의 분포를 보였다. '캠코더'로 분류되는 비상임감사는 6명(12%)으로 타 직위에 비해 낮은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