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공주에 있던 충남도청의 대전 이전 설은 1910년 을사늑약 후에 급부상했다. 당시 대전은 허허벌판이었다. 공주가 충남도청 소재지가 된 것은 오랜 역사와 지리적인 장점 때문이다.
공주 지역은 조선시대에 충청감영이 있던 곳이다. 여기에다, 호서 지역과 호남 지역의 교통과 상업 교류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충남도청 이전은 경부.호남선 철도부설로 급부상
일제는 충남 공주에 있는 충남도청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래서 식민지배 강화를 위해 철도 통과지점에 도청 소재지를 뒀다. 1910년에는 경기도 도청 소재지를 수원에서 경성부로, 1920년에는 함경북도 도청 소재지를 원산에서 나남(청진)으로, 1923년에는 평안북도 도청 소재지를 의주에서 신의주로, 1925년에는 경상남도 도청 소재지를 진주에서 부산으로 각각 이전했다.
![1930년 충남 공주시에 있던 도청사 전경. 충남도는 1932년 대전시 중구 선화동에 신청사를 완공하고 도청을 이전했다.[사진=충남도지. 연합뉴스.]](/news/photo/201811/7962_11012_2240.jpg)
이를 위해 한반도를 엑스(X)자형의 종관 철도망으로 연결했다. 말로는 시정(施政)상 편의라는 명분이었으나, 속으로는 철도가 통과하는 지점에 도청 소재지를 이전시켜 식민지 지배 통치체제를 구축하려는 속셈이었다. 일제는 식민지 지배 체제의 확립과 원활한 식민 통치를 위한 정책으로 교통 통신망을 구축과 함께 통치 구역을 정비했다.
![910년대 철도가 가설된 대전의 모습. 철도의 부설은 조그만 농촌마을이던 대전을 도청소재지로 만들었다.[사진= 충청남도역사박물관]](/news/photo/201811/7962_11027_1952.jpg)
![1920년대 대전역의 기관차 모습. 경부선과 호남선 철도가 가설되면서 대전은 급격하게 발전했다.[사진= 충청남도 개도 100년사]](/news/photo/201811/7962_11031_3036.jpg)
이는 기존의 한국 사회 세력을 약화, 새로운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려는 시도였다.
일제 때 경부(京釜)선과 호남(湖南)선 철도가 대전 지역을 통과하게 된다. 그 바람에 대전 지역이 삼남 교통의 요충지이며 물산 집산지로 변모했다. 대전은 신흥 상공업 도시로 부상하게 되었다. 일본인들도 대거 진출로 근대 도시 기반을 갖추면서 신흥 도시로 발전하였다.
![1930년 충남 공주시에 있던 도청사 전경. 충남도는 1932년 대전시 중구 선화동에 신청사를 완공하고 도청을 이전했다.[사진=충남도지. 연합뉴스.]](/news/photo/201811/7962_11013_2510.jpg)
그 무렵, 대전은 도청 소재지인 공주보다 인구가 적고 도시기반 시설도 떨어졌다. 1920년대 공주는 한국인이 주류를 이뤘지만, 대전은 일본인이 배나 많았다.
충남도와 충북도를 합친 충청도청사 '조치원계획'
기록을 보면 1923년 공주 지역 인구는 8304명(한국인 6548명, 일본인 1605명)이었다. 반면 대전 지역 인구는 6728명(한국인 2114명, 일본인 4798명)이었다.
때문에 대전 지역 일본인 거류민을 중심으로, 공주에 있던 충남도청이전여론이 대두됐다. 하지만 인구나 기반시설이 부족한 탓에 진전을 보지 못했다.
조선총독부는 이쯤 충남과 충북을 합쳐 ‘충청도’라하고 도청 소재지를 물색했다.
![1930년대 연기군청모습. 이 곳이 충남과 충북을 합친 충청도 도청사로 쓰일뻔 한 곳이다.[사진= 세종시제공]](/news/photo/201811/7962_11014_3039.jpg)
예상된 ‘충청도(충남+충북)’의 도청 소재 후보지를 놓고 총독부 내부에서도 설왕설래했다.
당시 후보지는 충남도청이 있는 공주나 또는 충북도청이 있는 청주 외에 충남 조치원등을 놓고 검토했다. 충남, 충북간의 세력대결이 우려되자 일단 공주와 청주를 제외했다.
그래서 1순위로 꼽힌 곳이 충남 조치원, 2순위가 신탄진 일대였다.
훗날 박정희 전 대통령이 임시수도로 조치원, 신탄진을 꼽았던 것과 비슷하다.
극비리에 충남도청사로 조치원이 유력하게 추진되어 거의 확정단계에 이르렀다. 총독부가 내려 보낸 측량 기사들이 조치원과 부강지역, 연기군 일대를 돌았다.
더구나 대전과 신탄진 유지들이나 조치원 유지들은 충남도청 이전설을 계기로 로비전도 치열하게 펼쳤다.
![조치원이 충남북 통합 도청소재지가 될 것으로 보고 1919년 3.1만세운동후 옮겨온 천안헌병분대 조치원분경소를 폐지하고 설치된 1920년 조치원경찰서.[사진=세종시 제공]](/news/photo/201811/7962_11015_3551.jpg)
당시 신문들은 충남과 충북을 합친 통합 충청도로하고, 도청소재지를 조치원으로 해야 한다는 기사도 있었다.
일제는 1925년 무렵, 경남도청을 창원에서 부산으로 이전하는 문제로 진통을 겪을 때다.
이 무렵 호남선 부설이 논의되면서 주로 대전 지역 일본인 거류민을 중심으로 도청 이전설이 퍼졌다. 그 바람에 개발정보에 밝은 사람들이 ‘충남도청이전’을 기정사실화하며 토지투기에 열을 올리기 시작한다. 이로 말미암아 도청이전 훨씬 전부터 대전역 주변의 토지는 김갑순과 몇몇 대지주(일본인지주 및 토지회사)들에 의해 분점되었다.
![충남공주에 엤던 충남도청사를 친일파와 대전의 일본인들의 얘기를 듣고 대전으로 은밀히 이전작업을 벌인 제5대 야마나시 한조(山梨半造) 총독[사진=충남도지]](/news/photo/201811/7962_11016_4128.jpg)
그러나 1929년에는 조선총독부 야마나시[山梨半造] 총독의 독직사건이 '동아일보' 보도를 통해 여론화되는 과정에서 대전 지역 유지들의 충청남도 도청 유치 로비 사건이 폭로되었다.
도청의 이전 논의가 시작된 것은 1929년. 제5대 야마나시 한조(山梨半造) 총독이 재임하던 시절이었다. 충남도지사는 신석린(申錫麟)씨다. 야마나시는 당시 총리였던 다나카 기이치(田中義)의 천거로 조선 총독에 임명되었다.
다나카와 야마나시는 일본육군사관학교 동기생이었다. 어쨌든 그는 군재임 시 시베리아 원정군이 탈취한 황금을 횡령한 사건 등 다양한 부정혐의에 연루되면서 돈을 좋아하는 ‘배금장군(拜金將軍)’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는데, 실질적인 그의 임무는 다나카의 정치자금 조달이었다.
![공주에 있던 충남도청사를 대전으로 이전하는데 앞장선 공주출신 김갑순[사진=충남도지. 개도100년사]](/news/photo/201811/7962_11020_059.jpg)
자금을 끌어 모으는 데 혈안이 된 그에게 접근한 것은 대전지역 일인(日人) 실업인들이다. 1929년 3월 그들은 야마나시 총독을 대전으로 초대했다. 충남도를 시찰한다는 명목으로 공주, 논산을 거쳐 대전을 방문한 야마나시 총독을 대전의 실업인들은 열렬하고도 따뜻하게 환영했다.
그들은 이 때 정치자금 10만 원을 모아 전달하면서 은밀하게 도청의 이전을 건의했다. 이후 석 달도 채 되지 않아 1928년 중국에서 일어난 장쭤린(張作霖) 폭살 사건으로 다나카 내각이 총사퇴했다. 야마나시 총독의 입지도 크게 추락했다. 그는 불안한 정국에서도 충남도청을 대전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것을 하나의 총독부 시책으로 확정지었다.
![충남도청소재지인 공주의 1920년대말 전경[사진=충남개도 100년사]](/news/photo/201811/7962_11023_910.jpg)
그는 부산 미두취인소(米豆取引所) 설립 허가를 둘러싸고 5만 원을 받은 ‘독직(瀆職)사건’에 연루되어 사임하였다. 일본으로 돌아간 야마나시는 재판을 받았다. 충남도청 유치를 위해 움직이던 대전 사람들로부터 뇌물을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져 파란을 일으켰다. 재판결과는 증거불충분으로 무죄 석방되었으나 충남도청 이전설은 더 커졌다.
![1920년대 공주의 충남도청사 정문. 현재는 공주사대부고가 있고 맞은 편에 공주경찰서가 들어서있다.[사진=충남개도 100년사]](/news/photo/201811/7962_11024_123.jpg)
야마나시 총독의 후임으로 사이토 마코토(齋藤實) 총독이 임명된다. 그는 1919년부터 8년간 야마나시보다 먼저 조선 총독을 역임한 자다. 그는 오자마자 충남지사 신석린을 중추원 참의로, 충남지사 후임에는 강원도 참여관(현재의 부지사)인 유진순(劉鎭淳)을 각각 임명했다. 그러나 사이토는 그해 12월 총독부 예산을 세우면서 충남도청 이전 예산 39만 5000원을 책정했다. 총독부는 전임자의 결정이지만 위신을 세우기 위해서는 추진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모든 게 비밀에 부쳐졌다.
-야마나시 밑그림, 사이토총독이 기자회견서 밝혀
1930년 1월 사이토 총독은 신년 기자회견에서 새해 시책 방향을 설명한 뒤 충남도청의 대전 이전을 공식 발표했다. 이전 계획이 공개되자 대전과 공주의 반응은 극과 극을 달렸다. 대전의 읍민들은 환호했다. 그러나 공주 주민들은 충격에 빠졌다. 대전의 땅값은 두 세배 크게 뛰었지만 공주의 땅값은 폭락하기 시작했다. 공주지역에서는 조선인과 일인 거류민들이 손잡고 '반대투쟁위원회'를 결성하며 반발했다.
공주지역 유지들의 모임이다. 공주공영회는 1929년 1월 도청 이전 반대를 위하여 소집된 시민대회에서 정식으로 공주시민회를 조직하였다.
![공주에 있던 충남도청사를 대전으로 이전하는데 나선 반대운동 시민들이 공주시민회원을 구금한 경찰에 몰려가 석방을 요구하는 장면[사진= 충남 개도 100년사]](/news/photo/201811/7962_11025_1531.jpg)
공주시민회는 1930년 11월부터 1931년 3월 초순까지 공주 지역의 도청 이전 반대운동을 주도하였다.
공주시민회는 회장에 일본인, 부회장은 한국인으로 구성하였는데, 도청 이전 반대를 위한 실행위원을 선출할 때에는 한국인과 일본인을 각각 20명씩 조직했다.
실행위원은 한국인 부회장인 권익채(도평의원회)와 오경달(면협의원, 정미소운영), 서덕순(대지주, 금융조합장, 신간회 부회장), 심재욱(도의원, 사업가), 김낙현(충남 의업조합부조합장), 김영배(공주수양청년회와 신간회 임원, 청년상회), 성보영(금융조합장, 대지주), 이범규(노동협성회 발기인, 양조소매업), 윤종혁(공주상번회부이사장, 포목상점), 김기태(상번회이사, 시장상인), 지헌정(읍회의원, 동아일보 지국장), 서범순(면협의원, 대지주), 양천손(읍회의원, 양조업), 이태영(상점), 이원태, 민영용, 양명호(수양청년회임원), 백창진(양조소매), 류갑수(변호사), 백종성, 곽상남 등 공주 읍내의 유지들로 구성되었다.
일본인 유지들은 진정과 로비를 맡는 대신 한국인 유지들은 대중 집회나 시위를 맡는 등 역할 분담을 하였다.
![1932년 충남도평의회 의원들 모습[사진= 충청남도역사박물관]](/news/photo/201811/7962_11026_1729.jpg)
도청 이전 반대운동으로 일본인과 공주 지역 유지들은 일정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였다. 반대운동이 본격화한 것은 1930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가 정식으로 충남도청이전 신축예산안을 편성하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부터이다.
당시인 1930년11월7일자 경성상공신문 (京城商工新聞)을 통해 ‘충남도청 신축예산안’이 편성됐다는 보도가 나오자 극에 달했다. 이런 분위기는 공주를 비롯하여 대전, 천안, 조치원, 논산에서 반대와 유치운동으로 번져갔다. 그 후 3일 뒤인 11월 10일 총독부가 공식적으로 ‘충남도청 신축예산안’을 편성했다. 공주공영회라는 조직이 있었다.
공주시민회의 역할은 컸다. 3,000여 원의 운동자금을 모금하는 등 다양한 반대운동을 벌였다. 1931년 1월 3일 도지사 관저에서 김영배·노원하·지헌정·서겸순 등의 주도로 500여 명이 참여하는 시위운동을 전개했다. 동시에 30여 명의 진정 위원단을 조선총독부에 파견하는 활동을 했다. 또한, 천안 지역과 조치원 지역 유지들도 충청남도 도청의 대전 지역 이전 계획에 반대하여 충청남도 도청과 조선총독부에 진정단을 파견하기도 했다.
![충남 도청이전 관련 서류들[사진= 충청남도역사박물관]](/news/photo/201811/7962_11028_2156.jpg)
이에 조선총독부는 분란의 소지를 없애고 도청 이전 문제를 매듭지기 위해 명분을 찾았다. 결국 공주는 교통이 불편하여 행정 중심지로서 적당치 않다는 것과 청사가 낡고 협소하여 민중의 편익을 도모하기가 어렵다는 것 등의 사유를 들어 1931년 1월 13일 조선총독부 내무국장 이름으로 충청남도 도청의 대전 지역 이전을 기정사실화하였다.
![제1대 충남도장관인 친일파 박중양의 모습[사진=충남도 역사박물관]](/news/photo/201811/7962_11029_2436.jpg)
공주 지역 유지들은 1931년 1월 16일 시민대회에서 도청 이전은 총독 정치의 본령에 반하는 것이라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하고, 충청남도 도청 앞 시위 투쟁을 주도하였다.
-공주시민들 시민회 조직해 적극 이전 반대운동
그리고 대규모 상경 투쟁단을 조직하는 한편 동경제국의회에까지 진정 활동을 전개하였다. 공주 지역 시장 상인들도 철시로 동참하였으며, 충청남도 당국은 공주시민회 대표와 각 구장을 도청으로 불러 이미 결정된 사안이므로 보상 문제와 같은 사후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회유와 협박을 가하면서, 경찰을 동원하여 시민회 간부를 잡아 가두고 사무실을 수색하는 탄압을 자행하였다.
![1920년대 공주에 있던 충남도지사 관사의 모습[사진= 대전시사]](/news/photo/201811/7962_11033_3843.jpg)
![한국전쟁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머물렀던 충남도지사 공관.[사진=충남개도 100년 사]](/news/photo/201811/7962_11040_4721.jpg)
1931년 2월 4일 동경에서 ‘충청남도 도청은 공주 지역에 신축하기로 청원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결의되었으니 시민 일동은 일층 분투 바란다.’라는 전보의 도착으로 공주시민회 주도의 시위는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31년 2월 5일 일본 집권 민정당은 중의원에서 의회는 일시 동인의 정신으로 진정을 청취해야 2천만 동포의 신뢰와 위안을 얻을 수 있다는 명분으로 충청남도 도청 이전 반대를 공식적으로 결의하였다. 한편, 공주 지역 유지들은 도청 이전 반대운동의 논리와 명분을 만들어내려고 공주 지방민 대표 일동 명의로 '소화(昭和) 6년 2월 조선총독부에 충청남도청 이전의 이유를 논박함'이라는 소책자를 발행하였다.
대전 지역은 일본인 도시, 공주 지역은 한국인 도시라는 명분으로 조선총독부와 제국의회 및 언론이나 여타 지역 군민들을 설득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920년대 공주 공산성 앞에 있던 금강목교의 모습. 공주사람들은 서울이나 대전으로 갈때 이 목교를 건너다녔고 홍수가 나면 고립상태에 빠졌다고 한다. 이 목교는 충남도청을 대전으로 옮기는 대가로 금강철교가 가설된 후 해체되었다.[사진= 충청남도 개도 100년사]](/news/photo/201811/7962_11032_3233.jpg)
조목조목 논박한 주요 내용은 ▲평안남도나 경상남도 도청처럼 교통상의 이유로 불편이 적지 않은 곳에 있는 도청을 점차 적당한 곳으로 옮겨왔다, ▲과거에는 남선 각지로 통하는 요지였으나 철도 교통의 발달로 장차 교통상의 요충으로서의 의미가 없어졌다, ▲금강에 토사가 퇴적되어 수운의 편리함이 사라졌다, ▲1929년 도평의회에서 공주 선출 의원을 제외한 전체 도평의회원이 도청의 대전 이전을 찬성했다, ▲도청 건물이 낡았다, ▲민중의 편의를 도모하고 사무 능률을 증진 시키려면 도청을 대전으로 옮기는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공주가 철도로부터 8~9리나 떨어져 있다, ▲홍수 시에 교통 통신의 두절로 관민이 불편을 겪고 있으며 이런 문제는 가까운 장래에 해결이 어렵다, ▲대전 지역보다 인구 규모가 작다, ▲공주지역은 이미 상공업 도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단순히 도청 소재지라는 이유로 현상을 유지하고 있다, ▲도청 이전 영향은 일부 지주나 상인들에게만 피해를 미칠 것이다 등이다.
그 비판 가운데 ‘철도 교통의 발달로 교통상의 요충지로서 의미가 없어졌다’라는 주장에 대해 ‘외국의 예를 보아도 앞으로는 철도 교통보다 도로 교통이 더 발달할 것이다’라는 주장은 매우 타당성이 있는 지적이었다.
일제는 중의원의 부결을 무시하고 귀족원서 통과
그러나 1931년 3월 13일 일본 귀족원은 중의원의 결의를 무시하고 조선총독부안을 지지하여 도청신축예산안을 결의하였다. 공주 지역시민들은 1931년 3월 11일 밤부터 13일 오전까지 산성에서 횃불시위를 전개하고 시장 통에서 투석전을 감행하는 등 격렬한 시위를 전개하자, 일본은 300여 명의 경찰을 동원하여 50명을 잡아 가두는 등 강경 진압을 하였다.
이후 1931년 4월에 시행된 읍회의원선거에 일부 유지들이 불참을 선언하는 등 도청 이전에 항거하였다. 공주 지역에서 도청 이전 반대운동은 1931년 1월 3일부터 3월 13일까지 두 달 열흘 정도 전개되었다.
![1930년대 대전 시가지. 대전역에서부터 중앙로를 거쳐 충남도청까지 일직선이다. 6.25전란때 모두 파괴됐으나 이사진을 토대로 다시 복구했디.[사진= 충청남도 개도 100년사]](/news/photo/201811/7962_11030_2758.jpg)
충남도청의 이전에 관한 의안이 1931년 3월 일본 제국회의(의회 하원)에 비밀리에 상정되었다.
공주의 반대투위에서는 이를 알아채고 긴급회의를 소집, 핵심간부 2명이 일본으로 건너가 제국회의의 통과를 저지에 나섰다. 형사들의 미행을 따돌리고 동경에 도착한 이들은 충남도청 이전 예산서를 복사해 대의사(代議士)들을 찾아 다니며 예산안의 삭감을 설득했다.
이 설득작업으로 그해 3월 9일 열린 제59차 제국회의에서 충남도청 이전 안은 예산이 전액 삭감됨으로써 부결되고 말았다. 이 소식이 순식간에 국내에 전해졌고 대전과 공주에서는 희비의 쌍곡선이 엇갈렸다.
![대전면협의회와 대전번영회가 중심이 되어 본격적인 시가지 개발을 위한 대전시계획위원회가 설립되었다. 이들이 이후 대전의 도청유치를 위해 운동을 벌인 대전기성회의 모체가 된다. 사진은 대전도시계획위원회 회의 모습.[사진 = 충청남도역사박물관]](/news/photo/201811/7962_11022_633.jpg)
이번에는 대전에서 땅값이 폭락하고 대전토지주식회사를 중심으로 도청부지 등을 마련하려던 계획은 중단되고 말았다. 공주는 달랐다. 축제의 분위기 속에 유흥가가 살아나고 땅값이 다시 회복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 기쁨도 오래가지 못했다. 사이토 총독은 귀족원(상원)에서 예산을 다시 회복시키기로 하고 일본 귀족출신 대전거류민 대표를 일본으로 보내 귀족들을 설득하도록 하는 한편, 충남도청 이전의 당위성을 담은 친서를 와카츠키 레이지로(若槻禮次郞) 수상에게 전달했다.
결국, 제국회의가 열린 지 한 달도 채 안 된 4월 귀족원의 제59차 본회의에서 충남도청 이전 예산안이 다시 부활함으로써 하원의 의결이 뒤집혔다. 공주에서는 모든 상점과 영업소의 철시를 결의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는 등 강경하게 대치했다. 이러한 가운데 1931년 사이토가 물러가고 우카키 가즈시게(宇垣一成) 육군대장이 7월 4일 제7대 조선 총독으로 부임해왔다.
![대전 제1보통학교에서 열린 충남도청 이전축하 체육대회 모습[사진= 충청남도 개도 100년사]](/news/photo/201811/7962_11021_343.jpg)
그 해 9월에 유진순 지사가 충남지사에서 해임되고 대신 일본인인 오카사키 데스로가 부임했다. 일제는 한국인 도지사를 임명하지 않았다. 오카사키 지사는 계속되는 공주 읍민들의 분노를 무마 시키기 위해 금강철교 건설과 공주교육도시 육성을 약속했다. 그러나 연일 도청이전 반대 시위가 벌어지고 급기야는 공주경찰서 방화미수사건이 터지기도 했다. 공주 반발의 무마책으로 제시된 금강대교의 건설이 1932년 1월 시작되었고 2년여의 공사 끝에 드디어 1933년 11월 개통식을 가졌다.
![1960년 초 대전시 중구 선화동 옛 충남도청 증축 모습.[사진=충남도지. 개도100년사]](/news/photo/201811/7962_11019_5818.jpg)
충남 도청 대신에 얻은 이 다리를 공주 사람들은 ‘한(恨)의 다리’라 불렀다.
1896년(고종33) 충주에 있던 충청감영에서 분리되어 충청남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던 공주는 36년 만인 1932년 도청 소재지의 지위를 잃고 군 소재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한편, 도청 이전이 확정되면서 충남도는 부지를 매입하고 7월 15일 기공식을 가진 뒤 공사에 돌입했다. 이 공사는 순조롭게 진행돼 1932년 9월 새 도청건물이 완공되었다. 9월부터 도청은 공주로부터 짐을 옮기기 시작해 10월 1일까지 이전을 완료하고 당일 우카키 총독이 참석한 가운데, 도청사 앞에서 도청이전식을 성대히 열었다.
![대전의 충남도청 상량식 행사 장면[사진= 충청남도 개도 100년사]](/news/photo/201811/7962_11018_5331.jpg)
대전이 충청의 중심지로 발돋움하는 등 새로운 역사의 장(章)을 연 충남도청의 대전이전은 이렇게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