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아산시, 23년 된 행정구역 개편 필요”
“아산시, 23년 된 행정구역 개편 필요”
  • [충청헤럴드=안성원 기자]
  • 승인 2018.11.23 16: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맹의석 시의원 5분 발언…“배방읍 분동, 동지역 인구형평성 맞춰 재편해야”
23일 5분발언을 통해 배방읍의 분동과 동지역 행정구역의 재편을 제안한 아산시의회 맹의석 의원.

충남 아산시가 23년 전 시·군 통합 당시부터 이어온 행정구역을 인구증가 및 행정수요를 반영해 재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아산시의회 맹의석 의원은 23일 제208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원도심 행정구역 조정과 배방읍 분동”을 언급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맹 의원에 따르면, 아산시는 일제강점기인 1914년 조선총독부령에 의해 온양·아산·신창 등 3개 군을 통폐합해 아산군으로 개편했으며, 1986년 다시 온양읍이 온양시로 승격되며 분리됐다가 1995년 아산군과 온양시가 통합해 현재의 아산시가 됐다.

특히, 시·군 통합당시 2읍 9면 6동은 23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문제는 그동안 인구증가, 기업유치 등 지역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발생하면서 행정수요 불균형 등 여러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는 점.

실제로 지난달 말 기준, 동지역 인구를 보면 ▲온양1동 1만286명 ▲2동 8036명 ▲3동 3만8211명 ▲4동 1만9430명 ▲5동 2만7426명 ▲6동 2만9604명 등으로 불균형이 심각하다. 가장 적은 온양2동과 3동은 무려 4배 이상 차이가 벌어져 있다.

이에 맹 의원은 “충남에서 인구가 유일하게 증가하는 도시는 천안시와 아산시로, 증가하는 인구에 대한 적절한 행정서비스를 위해 행정구역 개편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동별 행정구역은 온양읍 때 경계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계속적으로 동별 인구 편중현상이 가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장을 방문하면 어느 동은 행정구역이 너무 작아 지원이 적다고, 어느 동은 민원인이 너무 많아 업무가 많다고 이야기 한다”며 “2014년부터 시작된 도로명 주소와 인구분포를 기준으로 동별 행정구역을 재설정해 행정서비스가 적절하게 분포되도록 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맹 의원은 또 배방읍에 대해 ‘대읍제’가 아닌 분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6만9676명의 배방읍의 장재리, 세교리가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쌍용동, 동남구 신방동 등과 접해 있으면서 여러 행정적 불편함을 겪고 있다는 것. 

일례로 도로의 관리주체가 읍·면지역은 국도관리청과 국토부장관, 동지역은 관리청과 시장으로 돼있다 보니 눈이 올 경우 천안은 아산시 경계까지 제설작업이 신속히 이뤄지는데 반해, 아산은 국토관리청의 작업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와 함께 동지역과 읍·면지역이 면허세(3000~1만8000원 차이)나 대입특별전형(정원의 4%) 특례 규모, 건강보험료 감면혜택(500만 원 미만, 농어업인만 적용) 등에서도 별 차이가 없다는 게 맹 의원의 설명이다.

맹 의원은 “얼마 전 배방지역 인구가 천안으로 이동한다는 내용의 시정질의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대읍제 경우, 읍장이 사무관에서 서기관급으로 상향되는 것 빼고는 특별히 주민 서비스가 향상되지 않는다”면서 “지속적인 인구증가가 예상되는 배방읍을 3개 동으로 구분해 증가하는 행정서비스에 대응하고 주민들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행정복지센터 건립에 다소의 비용이 발생하지만, 늘어나는 행정수요에 대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식의 오류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며 “원도심의 행정구역 개편을 통한 적절한 행정서비스와 천안시와 인접한 배방읍 지역을 동으로 분리해 경쟁력 있는 도시로 만드는 것이 아산시의 미래”라고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