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신수용의 뉴스창] 충청권, 문 대통령 '긍정평가' 앞지른 '부정평가'
[신수용의 뉴스창] 충청권, 문 대통령 '긍정평가' 앞지른 '부정평가'
  • [충청헤럴드=신수용 대기자]
  • 승인 2018.11.29 15: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권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잘못한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잘한다'는 긍정 평가를 앞질렀다.

충청인들의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평양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9월 4주차 주간집계와 비교하면, 무려 23.9%p( 긍정 45.6%p, 부정 47.3%p)나 떨어지는 등 취임 1년 7개월 만에 최저치인 40%대로 추락했다.

29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26∼28일 대전·충청 등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508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포인트)한 결과, 충청인의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지난주 53.3%보다 7.7%p(전국 3.2%p) 내린 45.6%(전국 48.8%)로 집계됐다. 대전·세종·충청권에서 리얼미터 조사 기준으로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40%대를 기록한 것은 취임 후 두 번째다.

[사진=리얼미터 제공]
[사진=리얼미터 제공]

충청권에서 문 대통령이 '잘못한다'는 평가는 47.3%(전국 45.8%)였다. 부정평가는 이전 조사와 달리 긍정 평가보다 오차 범위 내에서 우세를 보였다.

리얼미터는 전국 조사결과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박근혜 정부에서도 민주당으로 기울어져 있던 중도층(긍정 46.5%·부정 50.0%)에서 처음으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를 앞섰다는 것"이라며 "문 대통령의 취임 후 지속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취해왔던 50대 장년층(긍정 37.9%· 부정 57.4%)도 부정평가 우세로 돌아섰다는 점"이라고 분석했다.

또 "특히 평양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9월 4주 차 주간 집계와 비교하면 모든 지역과 연령, 이념 성향, 직군에서 지지도가 큰 폭으로 내렸다"고 덧붙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지역별로 대전·세종·충청(▼7.7%p, 53.3%→45.6%, 부정평가 47.3%), 광주·전라(▼8.3%p, 78.8%→70.5%, 부정평가 24.8%), 경기·인천(▼5.2%p, 54.4%→49.2%, 부정평가 46.3%), 부산·울산·경남(▼3.7%p, 41.3%→37.6%, 부정평가 57.1%)으로 하락했다.

[사진=리얼미터 제공]
[사진=리얼미터 제공]

반면 대구·경북(▲2.0%p, 32.8%→34.8%, 부정평가 60.1%)과 서울(▲1.6%p, 53.1%→54.7%, 부정평가 40.6%)로 소폭으로 올랐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7.0%p, 42.2%→35.2%, 부정평가 57.9%), 50대(▼6.7%p, 44.6%→37.9%, 부정평가 57.4%), 20대(▼3.4%p, 58.1%→54.7%, 부정평가 38.4%), 30대(▼2.7%p, 59.4%→56.7%, 부정평가 36.5%)가 하락세를, 40대(▲4.3%p, 60.5%→64.8%,  40대(▲4.3%p, 60.5%→64.8%, 부정평가 33.3%)는 상승세였다.

직업별로는 주부(▼10.0%p, 50.3%→40.3%, 부정평가 54.2%), 자영업(▼4.6%p, 41.3%→36.7%, 부정평가 60.6%), 노동직(▼2.0%p, 46.1%→44.1%, 부정평가 47.2%)은 떨어졌으나, 무직(▲4.5%p, 43.2%→47.7%, 부정평가 47.0%)에서는 상승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3.2%p, 77.5%→74.3%, 부정평가 22.0%)과 중도층(▼3.1%p, 49.6%→46.5%, 부정평가 50.0%), 보수층(▼3.0%p, 23.7%→20.7%, 부정평가 76.4%)에서 하락했다.

리얼미터는 "가장 큰 원인은 경제의 어려움으로 고용, 투자 등 각종 경제지표 악화 소식이 몇 달째 이어지면서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일부 야당과 언론의 경제정책 실패 공세 역시 국정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악화시킨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이어 "북미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와 경제의 어려움, ‘남북 관계 과속론’과 ‘북한 퍼주기론’ 등의 공세가  부정 인식을 키운 요인"이라며 "문 대통령의 지지층 이완은 여당의 당 대표 선거 과정에서 이재명 경기지사를 둘러싼 지지층 내부의 갈등과 ‘혜경궁 김 씨’ 트위터 계정을 두고 지지층 간 갈등이 재점화되면서 여권 전반에 대한 불신이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충청권의 더불어민주당의 지지도 역시 전주(41.5%)보다 1.4%p(전국 1.6%p) 떨어진 40.1%(전국 37.6%)를 기록했다.

대전·세종·충청에서 자유한국당은 지난주 23.1%보다 1.3%p 오른 24.4%(전국 26.2%)로 '최순실 태블릿 PC 사건' 직전인 2016년 10월 3주차(29.6%)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진=리얼미터 제공]
[사진=리얼미터 제공]

한국당 지지도는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올랐다. 부산·울산·경남(한국 36.6%·민주 27.7%)과 자영업(한국 36.2%·민주 26.8%)에서는 한국당이 민주당을 제치고 선두로 올라서기도 했다.

전국적으로 정의당은 0.6%p 내린 8.2%, 바른미래당은 0.1%p 내린 5.9%로 조사됐다. 민주평화당은 0.8%p 상승한 3.0%를 기록했다. 

한편, 정부의 가맹점 카드 수수료 인하 정책과 관련, 국민의 절반 이상은 '잘한 대책'으로 여긴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28일 대전·세종·충청 등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505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4% 포인트)한 결과, '자영업과 소상공인이 어려운 처지이므로 정부가 적절하게 대응한 잘한 대책이다'라는 응답은 57.6%였다.

'정부가 개입할 문제가 아니며 소비자 혜택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잘못한 대책이다'는 응답은 26.0%로 긍정평가의 절반에 못 미쳤다.

자세한 사항은 리얼미터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